대부업체 보다 높은 금리받는 저축은행...“9~10등급 저신용자 대출이라”

입력 2013-11-25 19: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요 저축은행들이 일부 대부업체 금리보다도 높은 신용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는 1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9~10등급 저신용자에게 적용하는 것이며 연체를 발생시킬 확률이 높아 금리가 높아지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25일 저축은행중앙회에 공시된 각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대별 취급비중에 따르면 17곳에 달하는 저축은행들의 주요 대출상품군 평균 대출금리(지난 8∼10월 적용된 가중평균금리)가 연 30%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 평균 30~40%의 고금리 대출 비중은 △스타저축은행 94% △부산HK저축은행 93% △예가람저축은행 90% △현대저축은행 85% 순으로 나타났다.

자산 규모가 업계 1위인 HK저축은행(서울)은 다른 저축은행에서 거의 취급하지 않는 연 35∼40%대의 취급비중이 22.0%, 연 30%∼35%대의 금리 취급비중은 56.3%로, 연평균 30% 이상의 고금리 취급비중이 78.3%에 이르렀다.

4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종합자산 규모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옛 현대스위스저축은행)도 연 30∼35%인 고금리 대출 비중이 △SBI 39.5% △SBI2 43.5% △SBI3 53.7% △SBI4 48.8%에 달했다. 인천·경기 지역에 기반을 둔 모아 저축은행과 키움저축은행도 금리가 연 30∼35%에 이르는 신용대출 비중이 각각 73.9%, 43.6%였다.

이처럼 주요 저축은행들이 사실상 대부업 최고 금리(연 39.0%)와 다름없는 신용대출에 치중하면서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이 무색해졌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실제 대부업체인 러시앤캐시가 지난 7월 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연 29.9%로 인하하고 리드코프도 지난 8월 초부터 우수고객 대상 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기존 연 39%에서 29%로 10%포인트 내린 반면 저축은행은 현대저축은행의 스타일론(34.8%), 나래론(34.7%), 세이빙론(34.6%)과 예가람저축은행의 라이브S론(34.4%), HK저축은행의 119머니(33.3%) 등의 연평균 신용대출 금리가 높은 편이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저신용자에 대한 신용리스크로 인해 연체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금융당국에서 자산건전성을 위해 충당금을 더 많이 쌓으라고 하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받을 수 밖에 없다”면서 “서민을 위해 금리를 낮춰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규제가 강화돼 대출을 중단한다면 저신용자들은 대출 받을 곳이 없어 더욱 막막해 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