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CEO 또 낙하산?…김동수 전 정통부차관 내정설에 '시끌시끌'

입력 2013-11-22 08:33수정 2013-11-22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석채 전 KT 회장의 사퇴로 공석인 KT 후임 CEO에 김동수 전 정통부 차관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어, 또다시 낙하산 인사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청와대와 정치권은 최근 KT 후임 CEO군을 KT 내부인사, 관료출신, 삼성출신 등 3개 그룹으로 압축하고 이중 김 전 차관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차관의 경우, 2008년 전 정통부 차관을 끝으로 공직생활을 마무리한 정통 관료출신이지만 재계 11위 규모에 계열사가 52개에 이르는 KT를 이끌기에는 역량도, 격도 낮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동수 전 차관은 현재 KT CEO 자리를 위해 나름 백방으로 뛰고있지만, 주로 장관급이 거쳐 간 거대기업 KT를 이끌기에는 다소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청와대와 정치권에서는 또다시 후임 인사를 내정, 낙하산으로 밀어붙이려는 정황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KT 이사회는 18일 이현락 이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CEO 추천위를 구성, 25일 첫 회의를 열고 CEO 공모방식 등 구체적 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다.

하지만 벌써 청와대를 중심으로 중량급 인사를 내정했다는 소문이 파다해지면서 정부가 1주의 주식도 갖고 있지 않은 KT에 아직도 낙하산 인사 관행을 고집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한 글로벌컨설팅업계 관계자는 "KT의 규모에 비춰볼 때 다국적기업 CEO 자격을 갖춘 전문경영인이 선임돼야 한다."면서 "독선과 전횡을 할 수 없는 선진화된 지배구조를 만드는 게 급선무"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통신 비전문가나 정치권에 줄을 댄 일부 인사들이 KT CEO 자리에 오르기 위해 정치계 인사들과 만남을 추진하거나, 정권 실세들에게 직접 자리를 부탁하고 있다는 소문도 들리고 있다.

이같이 낙하산을 노리는 인사들이 많다는 소식에 KT 내부에서는 한숨이 흘러나오고 있다. 4~5년마다 되풀이되는 낙하산 인사와 그로 인한 CEO 사퇴의 후폭풍이 또다시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KT 한 임원은 “이번만큼은 KT를 잘 이끌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분이 와야 한다”며 “10년을 정치권과 관련된 인사가 CEO를 맡은 것만으로도 충분한 고통을 겪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