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서 ‘정무장관 부활’ 요구 또 나와… 정총리는 ‘미적지근’

입력 2013-11-19 20: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친박 노철래 “정치실종에 정무기능은 전무… 정무장관 신설해야”

새누리당에서 박근혜 정부 들어 폐지된 정무장관직을 부활해야 한다는 공개 제안이 또 나왔다.

여당에서조차 청와대와 국회 간 소통 부족으로 인해 꽉 막힌 정국의 답답함을 토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선 셈이나 청와대는 정무장관직 신설에 부정적이어서 관련 논의가 탄력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친박근혜계로 분류되는 노철래 의원은 19일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은 여야 간 소통 부재와 정치 실종의 상황을 두고 많이 안타까워한다”면서 “지금의 여야 간 ‘강 대 강’ 대치 정국은 청와대의 대(對)국회, 대정당, 대시민사회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업무를 담당한 정무장관과 특임장관의 역할이 상실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노 의원은 “국민은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국민 신뢰와 정치 신뢰 회복이 급선무라고 생각하는 만큼 정무장관실의 신설을 제안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정무장관 신설을 건의해줄 것을 정홍원 총리에게 주문했다.

노 의원은 “정무 기능의 축소·분산으로 정무 기능이 전무하다”며 “정무 기능을 살려 국정 소통을 하고 갈등 조정자의 역할을 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하지만 정 총리는 “정부기구의 축소 차원에서 조정이 돼 앞으로 총리실이나 장관들이 보충할 수 있는 노력을 최대한 해야 한다”면서 “현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 안 돼 앞으로 정무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고, 노 의원의 말을 유의해 고려하겠다”고만 했다.

한편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도 지난 6월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건 여야 간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여야 간의 노력과 함께 청와대와 정치권의 원활한 소통도 중요하다”며 “정치를 회복하고 청와대와 국회 관계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정무장관제의 부활을 제안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청와대 교감설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정현 홍보수석은 최 원내대표의 제안이 있은 지 하루만에 “청와대와 논의된 얘기는 아니다”라면서 “현재 청와대와 정부 모두 엄청 축소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는데 다소 불편하더라도 시도도 않고 벌써 바꿀 수 없지 않느냐”고 부정적 의사를 내비쳤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