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폴 등 마약류 RFID(전자태그)로 관리…‘시범사업 실시’

입력 2013-11-12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창조과학부는 식약처와 함께 RFID(전자태그)기반 마약류 관리 시범사업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RFID기반 마약류관리 시범사업은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의 7대 중점분야 중 대국민 건강을 보장하는 보건의료(비타민H) 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RFID 등 ICT(정보통신)신기술을 마약류 판매와 사용 전 과정에 적용함으로서, 유명연예인 등의 상습 투약으로 이슈화가 된 프로포폴 등의 오남용을 근절하고 국민건강도 증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사업에는 하나·환인·명인·명문·한국화이자 등 국내외 대표 마약류 제조·수입 제약사와 서울대·분당서울대·건양대 병원 등 대형 병원이 대거 참여해 시범사업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식약처는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RFID 우선 적용 마약류 24종을 선정한 바가 있다. 컨소시엄들이 이번에 RFID를 적용하기로 제안한 마약류는 프로포폴, 펜타닐 등 총 12종 300만 개에 이른다.

또 RFID태그는 카톤(소박스), 바틀(병) 등 마약류 외부 포장만이 아니라 앰플, 바이알 등 주사제 용기에도 부착된다. 제약사·도매상·병원은 의약품의 생산·판매·사용 시 태그에 내장된 고유 식별번호를 리더기로 읽어서 식약처 전산시스템에 보고하게 된다.

이번 시범사업은 내년 3월말까지 추진되며,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식약처는 내년도에 마약류관리법 등 관련 법개정을 검토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