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전과 지금… 재계는?]1960년대 ‘덩치 키우기’ M&A 각축… 최근 경기 불확실성으로 위축

입력 2013-11-11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엔 기업들이 인수·합병(M&A) 경쟁을 치열하게 벌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정책 그리고 재계를 겨냥한 사정정국에 기업들이 움츠러들고 있다.

1970년대 초 재계에는 기업 인수 바람이 거셌다. 1960년대 말부터 정리되기 시작한 부실 기업들이 1970년대 중반 대거 매물로 나왔기 때문이다. 또 1973년 불어닥친 오일쇼크로 휘청이는 기업들이 많았다. 1975년 제정된 종합상사 제도도 기업의 대형화를 부채질했다.

삼성, 현대, 한국화약(현 한화), 쌍용, 선경(현 SK) 등 23개 대형 그룹들은 1976년 4월부터 1977년 4월까지 13개월 동안 모두 49개의 기업을 인수했다.

김우중 전 회장이 이끌었던 대우그룹도 당시 공격적인 인수를 통해 성장했다. 특히 김 전 회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빠른 준공을 주문한 옥포조선소(현 대우조선해양의 조선소) 건설을 완수하면서 단숨에 재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기업의 M&A 환경이 달라졌다. 기업의 인수 기회도 줄었으며 그룹을 지속하는 것 또한 어려워졌다. 강덕수 STX그룹 회장이 2001년 쌍용중공업을 인수하며 성장한 STX는 조선업황 악화로 조선 부문만 남기고 그룹이 해체됐다. 웅진그룹은 2007년 극동건설을 인수한 뒤 자금난을 겪어 지난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동양그룹은 핵심 사업 부문인 시멘트의 경쟁력 저하와 취약한 재무구조로 법정관리에 돌입했다.

재계 관계자는 “2000년대 이후 기업이 줄줄이 쓰러지는 것은 그룹 경영진의 실책도 있지만, 과거와 같은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 것이 알짜 기업이 해외에 팔리거나 무너지는 주요 원인”이라고 풀이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대기업들이 정부의 상법 개정안을 피하기 위해 계열사를 줄이고 있는 것이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62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는 올해 상반기 말 1779개에서 지난달 말 1765개로 14개 감소했다.

이에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기업의 M&A 활성화를 위해 피인수 기업의 계열사 편입 유예기간을 최소 10년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피인수 기업의 계열사 편입을 3년간 유예하는 내용을 입법예고한 데 반발한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