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배추값 하락 대책 마련…생산·소비자와 유통협약 체결

입력 2013-11-08 14: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유례없는 가을배추 풍년에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 폭락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을배추 공급과잉에 대응해 한국무배추생산자연합회, 농협중앙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과 농·소·상·정 유통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농업인들은 도매가격이 경계단계(포기당 895원)까지 떨어지지 않더라도 농업인들이 저급품 시장출하를 자제해야 한다. 농식품부와 농협은 상품성이 있는 계약재배 물량 중 3만톤을 시장에 출하하지 않기로 했으며 시장격리 이후에도 가격하락이 계속되면 추가로 5만톤을 출하를 정지해 가격안정을 꾀하기로 했다. 다만 출하정지한 물량을 즉각 폐기하지 않고 보관하다가 배추가격이 상승하면 김치 공장 등에 공급할 방침이다.

김치소비 확대를 위한 캠페인과 거래장터 등도 활성화한다. 정부는 농협,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함께 이달 초부터 ‘김장 일찍하기, 김치 나눠먹기’ 등 소비촉진운동을 펼치고 있으며 농협 직거래 장터에 김장 재료를 저렴하게 공급하기로 했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11월 농업관측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생산량은 164만4000톤으로, 평년보다 약 12.5% 늘었다. 지난달 23일 과잉물량 공급조절과 수요확대를 통해 수급안정에 나섰지만 여전히 2만톤 정도가 도 20천톤이 공급과잉인 상황이다. 현재 11월 상순 기준 도매가격은 평년(1326원)보다 10%가량 떨어진 포기당 1200원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