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생산성 못 올리면 경제성장에 큰 부담”

입력 2013-11-07 14: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DI 서비스산업 국제포럼

서비스업 활성화가 고용 창출과 경기 안정에 긍정적이지만 생산성이 향상되지 않으면 오히려 고용의 질을 떨어뜨리고 경제성장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7일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주최한 ‘서비스산업 국제 포럼’에서 이시욱 명지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서비스업은 대외경제여건 변화에 민감한 제조업에 비해 경기 안정적 특성을 보여 서비스화가 진전될수록 경기 안전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고용 창출 측면에서도 자본과 노동 간 대체성이 높은 제조업보다 고용 친화적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 향상이 실질임금 증가, 시장 수요 확대를 가져오고 이를 통한 고용창출능력 제고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교수는 서비스 산업 혁신에 있어 생산성 향상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비스업에서 양적 고용 증가가 이뤄지더라도 고용 확대에 상응하는 생산성 증가가 수반되지 않으면 고용의 질을 떨어뜨릴 있다”고 경고했다. 또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생산성 제고가 전제돼지 않을 경우 서비스업 확대가 향후 경제성장, 소득 형평성, 재정건전성 등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에르베 마뜨 프랑스 에섹대 아시아캠퍼스 학장은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서비스 혁신이 필요하다”며 “서비스 혁신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소비자와의 상호교류 등 다른 측면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OECD 국가의 서비스업 혁신 전략, 문화·의료관광·IT 등 서비스업 분야 국가별 성공사례, 한국의 서비스업 실효성 및 정책 방향 등이 논의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