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클릭 건강] 아킬레스건 부상, 무리하게 운동하다 발 뒤꿈치에서 ‘뚝’

입력 2013-11-07 11: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행이나 운동 중 발을 헛디디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순간 발 뒤꿈치에 엄청난 고통이 느껴지며 ‘뚝’ 하는 소리가 들렸다면 아킬레스건 파열을 의심해야 한다. 평소 운동을 즐기지 않는 사람이 급작스럽게 운동을 할 경우 인대나 아킬레스건 부상 가능성이 더욱 높다. 아킬레스건은 발목 뒤의 굵은 힘줄이다. 아킬레스건 파열은 격렬한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데 주로 급격한 방황 전환이나 정지 동작으로 인한 비틀림, 심하게 부딪치는 등 무리한 동작을 할 경우 발생한다.

대개 손상이 일어나면 발목 뒤를 누군가 차는 듯한 느낌이나 ‘탁’ 하는 소리와 함께 극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통증은 어느 순간 사라지지만 발끝으로 설 수 없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정상 보행이 힘들다.

아킬레스건 파열이 의심되면 발등을 위로 젖히는 자세를 주의해야 한다. 증세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서다. 치료 시기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이 커 아킬레스건 파열이 의심되면 즉시 전문병원을 찾아 MRI와 초음파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아킬레스건 파열 진단이 확정되면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재파열이 적고 근육 위축이 작으므로 활동량이 많은 사람이나 젊은 사람에게 권장된다. 재발한 경우나 발끝으로 설 수 없는 사람들은 건 이식술이나 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을 시행한다.

흉터가 걱정인 젊은 여성이나 수술이 두려운 환자의 경우 자연치유를 위해 6~8주간 부목고정을 하면서 추가 손상을 막는 치료를 하기도 한다.

청담튼튼병원 정대학 원장은 “평소 운동량이 부족하고 주로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 직원의 경우 갑작스럽게 무리한 운동을 하다가 아킬레스건 파열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면서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주고 스포츠 활동 이후에도 정리 운동을 해주는 것이 부상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