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경남기업 1주일전에 “차입금 상환 문제없다”

입력 2013-10-30 13: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남기업이 차입금 상환에 문제가 없다고 밝힌 지 일주일도 채 안 돼 워크아웃 신청을 결정해 투자자들의 피해가 더 커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경남기업은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 정상화를 위해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 등 채권금융기관에 워크아웃 개시를 신청했다고 전일 밝혔다. 경남기업은 현재 채권단을 대상으로 500억원의 긴급자금 지원을 요청했고 추가로 1500∼2000억원의 자금 지원을 요구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 24일 경남기업은 신용평가사들이 유동성 위기를 우려하며 일제히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자 “올해 말까지 총 3000억원에 달하는 여유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차입금 상환 등에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밝혔다. 당시 경남기업 관계자도 “4분기 예상 지출금액 2650억원을 제외하고 약 345억원의 여유 자금이 생긴다”라며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정상영업활동이 가능하다”라고 진화에 적극 나섰다.

경남기업이 차입금 상환에 문제가 없다고 밝힌 24일 주가는 전일 대비 1.61%(70원) 오른 4410원으로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은 매도했으나 개인은 1000만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워크아웃을 결정한 29일에도 개인은 700만원어치를 사들였다. 개인은 지난 11일부터 11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보였다. 그러나 워크아웃 발표 다음날인 금일 경남기업은 하한가로 직행했다.

한 투자자는 “랜드마크 PF대출로 부채한도가 너무 높고, 실적도 부전한데다 해외수주와 관급공사를 주 메인으로 수주하던 회사가 제재조치를 추가로 받고 있다”라며 “6년을 보유하면서엄청나게 손실을 보고 어제 다 정리했다”라고 설명했다.

경남기업 관계자는 “우리가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여력이 있었지만 신용등급 하락으로 발주처(정부)에서 하도급 업체에 직접 800억원을 지불하고, P-CBO에 대한 120억원의 대출 추진도 막혔다”라며 “부도가 나면 더 큰 피해가 날 수 있어 상거래채권, 주주감자 없이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워크아웃을 신청했다”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