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수석·감사원장 이어 검찰총장 후보까지 PK

입력 2013-10-28 08: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진태 검찰총장 내정자, 野 고강도 검증 예고

박근혜 대통령이 검찰총장 후보에 김진태(61·사법연수원 14기·경남) 전 대검차장을 내정함에 따라 정부의 주요 사정라인이 부산·경남(PK) 출신 인사들로 채워지게 됐다.

김 내정자는 경남 사천 출신으로 정홍원 국무총리(경남 하동),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경남 거제), 홍경식 민정수석(경남 마산)과 동향이다. 사법부 수장인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의 고향은 부산이다. 5대 권력기관장(감사원장 국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세청장) 중 사정과 감사를 책임지는 2개 권력기관의 신임 기관장 내정자들이 둘 다 PK 인사들이다.

검찰총장 후보에 김 내정자가 지명되면서 “청와대와 검찰 등 핵심 사정 라인이 PK인사들로 채워졌다”는 우려가 높다. 당장 야당에서는 “집권 세력 내 특정 지역 출신이 지나치게 권력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야당 측은 청문회 과정에서 이를 고리로 공세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 최재천 민주당 의원은 27일 자신의 트위터에 “김 실장과 정홍원 국무총리, 황찬현 감사원장 내정자에 이어 김 내정자까지 모두 경남출신의 보수 법조인들”이라며 “최근들어 기묘한 인연처럼 법조 인맥들이 지나치게 임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문회에선 김 실장과의 관계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김 내정자를 “김기춘 실장의 대리인”으로 규정하고 ‘청와대의 검찰 직할’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김 내정자 장남이 사구체신염으로 병역 면제를 받은 점과 연고 없는 여수와 광양에 보유한 땅의 경위와 목적을 집중 추궁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김 내정자가 총체적 위기에 빠진 검찰 조직을 어떻게 추스를 지 관심을 모은다. 법조계와 검찰 등에 따르면 새 검찰총장이 시급히 해결할 과제로 △내부 갈등 봉합 및 조직정비 △검찰 중립성 확보와 검찰개혁 △대형 경제비리 사건 마무리 등이 꼽힌다.

우선 국가정보원에 대한 수사를 놓고 불거진 외압 논란과 내분에 휩싸인 검찰 조직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과제에 놓였다. 이에 따라 김 내정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차기 총장에 정식 임명된다면 우선 검찰 조직내 갈등과 내분을 봉합하고 화합을 유도함으로써 검찰에 주어진 업무 수행을 정상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효성그룹의 탈세 및 비자금 의혹 수사와 동양그룹의 사기성 기업어음(CP) 및 회사채 발행 사태 수사 등 현재 진행 중인 대기업에 대한 수사도 무난히 진행해야 하는 과제가 쌓였다. 김 내정자는 채 전 총장의 사퇴로 일시 중단된 검찰 개혁을 마무리 지어야 하는 막중한 책임도 떠안게 됐다. 채 전 총장 당시 구성된 검찰개혁심의위원회는 최대 현안인 ‘상설특검 도입’안건 논의를 앞두고 활동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