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 국채 무기화?...“대대적 축소에 대비해라”

입력 2013-10-25 15: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로치 “미국 정치적 불확실성 부담... 보유 비중 낮출 수도”

미국은 중국이 미국채 보유량을 일제히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CNBC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티븐 로치 예일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투자자들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통제 아래 국채 금리가 낮게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가 보유한 미 국채 보유률은 전체의 11%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은 달러 표시 자산을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미국 국채 축소는) 금리 상승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미 정치권이 지난 9월 말까지 2014 회계연도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연방정부는 16일 간 셧다운(부분 영업정지)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미국 정부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도는 크게 타격을 받았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을 우려하며 미 국채 투자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위험회피 투자의 일환으로 미 국채에 투자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미 정치권의 불확실성은 국채 투자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세계 최대 미 국채 보유국인 중국이 국채를 매도하기 시작하면 국채 금리는 급등할 수밖에 없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규모는 1조26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보다 112억 달러 줄어든 것이다.

로치 교수는 “중국이 과대한 외환보유고를 줄이기 시작하면 미 국채와 같은 달러 표시 자산의 수요가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은 다른 경제 모델로 움직이고 있으며 이는 국채 매입 등 달러 표시 자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미국은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통화관리 전략의 일환으로 미 국채를 매입하고 있다. 외환보유고를 미 국채 등으로 전환하면서 위안화 가치 상승을 제한해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일각에서는 미국 국채를 대신할 투자처가 없다며 중국이 미국 국채에 대해 대대적인 매도세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로치 교수는 그러나 “미국은 중국의 미국채 투자 축소 가능성에 주목하지 않고 있다”면서 “‘여기가 아니라면 어디로 갈 것인가?’라면서 잘난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미국 경제보다는 자국 경제를 지지하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이동시킬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