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회의록…논란의 중심 '봉하 이지원' 은 어떤 곳?

입력 2013-10-02 20: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회의록 삭제 흔적과 함께 별도의 회의록 수정본이 발견됐다고 밝히면서 이번 '사초 실종' 논란의 중심이 된 '봉하 이지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봉하 이지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이후 참여정부 시절에 청와대에서 사용하던 통합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을 통째로 복제해 봉하마을 사저로 옮겨놓은 시스템을 일컫는다.

'기록물 유출'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시스템은 '봉하 이지원'으로 불리게 됐다.

'봉하 이지원'의 원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은 '디지털 지식정원'의 약자로 노 전 대통령이 지시해 참여정부 때 구축됐다.

이지원은 이번 '사초 실종'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면서 주목받았다.

이관 대상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정보만 옮겨 저장한 NAS나 PAMS와 달리 봉하 이지원에는 기존 이지원 데이터가 통째로 복제돼 있는 덕에 이지원 내에서의 삭제·수정 흔적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이지원은 2006년 2월13일 노 전 대통령 등 5명 명의로 특허가 등록됐다. 이지원 데이터 중 보존이 필요한 대통령기록물·비밀기록물·대통령지정기록물은 정권 교체기인 2008년 1∼2월 외장하드디스크(HDD) 97개에 담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