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 분쟁광물규제 대응전략 및 관리체계 구축 필요“

입력 2013-09-24 10: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정KPMG‘분쟁광물 공급망 실사체계 구축 세미나’ 25일 개최

삼정KPMG은 오는 25일 삼성동 섬유센터 17층 스카이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함께 ‘분쟁광물 공급망 실사체계 구축 세미나’를 개최하고 국내 수출업계의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분쟁광물이란 콩고, 수단 등 아프리카 분쟁지역 10여 개 국에서 채굴된 3TG광물(주석[Tin], 텅스텐[Tungsten], 탄탈륨[Tantalum], 금[Gold])을 말한다. 미국은 분쟁광물 판매자금이 반군으로 유입되고, 광물채취 과정에서 인권유린이 자행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지난 2012년 8월 분쟁광물규제 법안을 통과시켜 시행하고 있다.

분쟁광물은 휴대폰, 가전, 반도체, 자동차 부품 등 전세계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 상위 15개 품목 대부분이 분쟁광물 규제의 영향 아래에 있기 때문에 대미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EU, 캐나다, 호주 등의 입법화 움직임에 따라 타국수출기업도 분쟁광물규제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쟁광물 관련 컨설팅 전문가인 박문구 삼정KPMG 상무는 “분쟁광물 규제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인 휴대전화, 자동차 부품 등 산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최근 한국 수출기업에 보내온 업무요청서에 따르면, 한국 수출기업은 분쟁지역에서 생산한 광물의 사용여부와 이에 대한 입증을 위해 OECD의 분쟁광물 실사지침(Due Diligence Guidance)을 적용하라는 요구를 받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에 한국 수출기업은 이러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글로벌 Supply Chain 시장점유율을 늘이는 절호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또 박 상무는 “분쟁광물에 대한 대한 대응이 미흡할 경우, 해외 고객기업이 제3기관을 이용해 한국 수출기업의 공급망에 대한 강한 실사를 받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삼정KPMG의 전문가들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분쟁광물규제에 대한 국내업체들을 위한 맞춤형 대응전략 및 준비사항 등 프로세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분쟁광물규제 현황 및 국내기업 대응동향 △분쟁광물규제 대응 정책·전략 △분쟁광물규제 대응 협력사 관리 프로세스 등을 살펴보고 LG전자와 삼성전자의 대응사례가 소개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