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양적완화 불확실성 내년 초까지 지속…선제대응 강화”

입력 2013-09-22 16: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당초 예상을 깨고 양적완화 규모를 유지한 것에 대해 단지 시기가 연기된 것에 불과하며 내년 초까지는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어 모니터링 유지 등 선제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는 22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추경호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제12차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국의 양적완화 유지에 따른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추 차관은 “주요 시장 전문가들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직후 시장이 호조세를 보이다가 신중한 분위기로 돌아선 것은 양적완화의 축소 시기가 단지 연기된 것에 불과해 양적완화 축소 불확실성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앞서 19일 FOMC가 매달 850억달러 수준의 양적 완화 규모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직후 글로벌 주가는 큰 폭으로 상승하는 등 양적완화 규모 유지가 시장의 호재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미 연준 위원들이 오는 10월 양적완화 축소를 기정사실화하는 발언을 잇달아 쏟아내자 글로벌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은 약보합세로 돌아섰고 신흥국 통화도 소폭 약세를 보이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의 전제가 되는 미국 경제 회복세가 시장 예상보다 강하지 않을 수 있고 일부 신흥국 시장 불안은 경제 체력의 문제로, 양적 완화 연기된다고 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면서 “앞으로 국제금융시장은 양적 완화 축소시기와 규모를 둘러싼 불확실성 지속하는 가운데, 글로벌 이벤트를 중심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추 차관은 한국 경제의 양호한 기초체력과 해외에서 한국물의 움직임 고려할 때 이번 양적완화 유지결정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신흥국과 차별화하는 과정에서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최근 외국인 포트폴리오 자금 유출입 관련해서도 양방향 리스크가 잠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미국 양적완화 축소 우려가 현재 진행형이고 여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며 “미국 양적 완화 축소 우려에 선제 대응할 계획으로, 국내 금융과 외환시장은 물론 실물 부문에 영향이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장 밀착형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고 추석 연휴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했듯 글로벌 이벤트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외국인 포트폴리오 자금 유출입을 집중 감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