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똥쑥 왜 떴을까...플라보노이드 함유량, 기존 항암제의 1200배!

입력 2013-09-04 07: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똥쑥

▲경남 산청군 산청읍 정광들 약초재배단지에서 한 농부가 '개똥쑥'을 수확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개똥쑥이 우수한 항암 효과로 화제가 되고 있다.

개똥쑥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 잔잎쑥ㆍ개땅쑥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빈터, 강가 등지에서 자라며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과거에는 개똥처럼 흔히 볼 수 있어 개똥쑥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산업화 이후 환경오염과 생태환경이 변하면서 보기 힘든 귀한 약초가 됐다.

개똥쑥은 한방에선 발열감기, 학질, 소아경기, 소화불량,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특히 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돼 기존 항암제 보다 1200배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똥쑥은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테미신의 제조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열을 내리게 하며 면역조절,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뛰어나 물에 잘 씻어 샐러드로 먹거나, 고기와 함께 쌈채소로 먹어도 좋다.

지난달 말 경북 영주시에서는 '제1회 소백산 웰빙 삼가 개똥쑥 축제'가 열려 개똥쑥의 효능을 알리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