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제조업체 2008년 이후 가동률 하락”

자동차·정유·화학 등 대부분 떨어져…IT·조선 업종은 상승

국내 대형 제조업체의 공장 가동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은 29일 매출 상위 30개 제조업체의 올해 상반기 국내 공장 가동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가동율은 91.29%로 작년 같은 기간 93.03%에 비해 1.74%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92.77%)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번 조사에서 자동차, 철강, 정유, 석유화학 업종의 가동률 하락이 두드러졌다.

현대차는 울산 등 국내 공장 가동율이 지난해 104.8%에서 올해 97.8%로 7%포인트 하락했고, 기아차 역시 지난해 109.8%에서 올해 106.8%로 3% 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엔저’와 ’노조 파업’ 등 안팎에서 겹친 악재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완성차 시장의 침체로 자동차 부품업체인 현대모비스, 현대위아의 가동율도 작년보다 각각 3.5%포인트, 0.8%포인트 떨어졌다.

포스코의 경우 가동율(조강 기준)이 지난해 100.6%에서 올해 93.9%로 6.7%포인트, 현대제철도 90.3%에서 80.5%로 9.8%포인트 내려갔다.

현대오일뱅크의 가동율은 지난해 상반기 94.3%에서 81.5%로 12.8%포인트 하락했고, GS칼텍스와 S-오일도 6.2%, 3.3%포인트씩 낮아졌다. 이와 달리 SK에너지의 가동율은 77.1%에서 80.2%로 3.1%포인트 상승했다.

석유화학 업체인 SK종합화학의 가동율도 작년보다 3.3%포인트 떨어진 것을 비롯해 금호석유화학 1.5%포인트, 여천NCC 1.3%포인트, 롯데케미칼 0.8%포인트, LG화학 0.5%포인트씩 하락했다.

반면, 정보기술(IT)과 조선 업종의 상반기 가동률은 상승했다.

삼성전자의 가동율은 지난해 상반기 92.2%에서 94.6%로 상승했고, LG전자는 77.3%에서 86.4%로 9.1%포인트 올랐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과 SK하이닉스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동율 100%를 이어갔고, LG디스플레이의 경우 작년 보다 0.4%포인트 상승한 99.2%를 기록했다.

특히 조선업계 ‘빅3’의 가동율은 올 들어 큰 폭으로 상승했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상반기 92.6%에서 113.8%로 21.2%포인트 올라 조사대상 제조업체 가운데 상승폭이 가장 컸다. 또한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보다 9.9% 오른 109.7%, 삼성중공업의 경우 1.2%포인트 증가한 97.5%를 각각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