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23일 이산가족 상봉 위한 적십자 회담 개최 합의

입력 2013-08-19 08: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도 제의

남북이 오는 23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회담을 개최키로 했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을 열자는 우리 측의 제안을 받아들이면서도 회담 하루 전인 22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먼저 열자고 역제안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연계해 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 장소도 당초 우리 측이 제안한 판문점 내 우리 쪽 지역인 ‘평화의 집’이 아닌 금강산으로 하자고 했다.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18일 대변인 담화를 통해“오는 추석을 계기로 금강산에서 흩어진 가족, 친척 상봉을 진행하며 10·4선언 발표일에 즈음하여 화상상봉을 진행하도록 한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그러면서 “북남 적십자 실무회담은 남측의 제안대로 23일에 개최하도록 하며 장소는 금강산으로 해 실무회담 기간 면회소도 돌아보고 현지에서 그 이용 대책을 세우도록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북한이 적십자 실무접촉에 동의해온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실무회담 장소를 우리 쪽이 제의했던 평화의 집으로 하자고 다시 수정제의했다.

앞서 지난 달 10일에도 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 및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별도의 실무회의를 하자고 제의한 바 있지만 정부가 개성공단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것에 바람직하다는 이유를 들어 거절해 양 회담 성사가 무산된 바 있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3년만의 상봉행사가 된다. 지난 1985년 첫 이산가종 상봉 이후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매년 이뤄졌으나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사건이 발생한 후 중단됐다. 이후 2009년과 2010년 한차례씩 열렸지만, 이후 약 3년동안 상봉행사는 성사되지 못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에 대해서는“추후 입장을 밝히겠다”며 말을 아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