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행복한 삶의 터전 ‘행복주택’ 구도심 활력 촉진제 될 것”

입력 2013-08-08 10: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업무·상업시설 등 복합개발방식…“교통체증·학군 문제 최소화 노력”

정부는 행복주택을 단순하게 물리적인 임대주택 공급이 아니라 들어서는 지역과 소통하고 지역을 배려하는 임대주택으로 계획했다. 이를 통해 행복주택이 주변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물론 주변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주는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예상이다.

때문에 행복주택은 이전 임대주택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공급된다. 이전에 공급된 영구임대·국민임대주택 등 장기 공공임대주택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계층에 우선 공급됐다. 서민 주거 안정이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한편에서는 ‘저소득층 주거지역’이라는 낙인효과로 사회적 편견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정부는 행복주택을 업무와 상업시설, 비즈니스호텔 등이 들어서는 복합개발 방식으로 개발키로 했다. 단순 임대주택 단지가 아니라 행복주택과 주변 지역 모두 살릴 수 있는 최적의 개발 콘셉트를 잡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개발지역 주변에는 문화와 공원, 커뮤니티 시설 등을 적절히 배치해 기존에 철로로 단절됐거나 유수지로 버려진 지역을 다시 살려낼 방침이다.

행복주택이 임대주택과 크게 다른 점 중 하나는 실제로 살게 될 주민. 주된 입주 대상자가 임대주택은 일반적인 주거 취약계층 등인 데 반해 행복주택은 공급물량의 60%를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사회활동이 왕성한 계층을 우선 입주시킬 예정이다. 젊은 계층의 주거안정화를 통해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의 사회적 구매력을 이용해 주변지역 경제 활성화도 이끌어내겠다는 복안이다.

LH 관계자는 “젊은 계층이 보다 양질의 주택에 저렴하게 거주하면서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고 나아가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동량으로 자라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이 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행복주택은 입지적 장점을 가장 우선시했다. 행복주택은 도심 내 공공이 보유한 철도부지와 유휴 국·공유지, 미매각 공공시설 용지 등지에 건립되기 때문에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고 주변에 기반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시범지구로 선정된 서울 오류·가좌·공릉·목동·잠실·송파, 경기 안산·고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부는 시범지구의 인구구조, 주거 수요, 주변 여건 등을 조사해 지구별 입주계층 특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가좌·공릉지구는 인근에 주요 대학이 밀집돼 있다는 점을 고려해 대학생 특화지구로 개발할 계획이다. 오류·목동지구는 신혼부부 및 고령자 특화지구로 개발해 공동체 문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밖에 고잔·송파·탄천지구는 사회초년생 특화지구로 개발 검토 중이다.

LH 관계자는 “일본, 홍콩, 프랑스, 독일 등 많은 선진국에서 철로 상부와 유휴 국·공유지 등을 활용해 복합적으로 개발한 사례가 있다”며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교통체증과 학군 문제 등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검토해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