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결핍 환자도 신장이식 받을 수 있다

입력 2013-08-05 17: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최초 만성육아종병을 앓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 신장이식 성공

말기 신부전 환자가 면역결핍질환을 앓고 있더라도 신장이식 후 면역억제제와 예방항생제로 잘 관리 받으면 감염 등 합병증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신장이식팀은 지난해 12월 만성육아종병과 만성신부전을 앓고 있는 최용석(가명, 남, 15)군의 신장이식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만성육아종병은 면역계의 특정 세포(식세포)에 유전성 이상증후군이 생겨 면역력이 저하되고 감염이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면역결핍 질환으로 나쁜 균이 우리 몸에 침투해도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다.

최 군은 만성육아종병으로 출생 직후부터 반복되는 감염으로 항생제를 비롯한 다양한 약제를 지속적으로 맞아 왔다. 그 후유증으로 7세 때부터 신장 기능이 점차 나빠지기 시작했다.

최 군이 14세가 될 무렵 사구체 여과율(신장이 일정 시간 동안 특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혈장량으로 신장 기능을 잘 반영하는 지표)이 15mL/min 이하로 떨어지며 말기신부전 상태가 됐다.

생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을 받아야 했다. 투석을 받으려면 투석용 혈액도관이나 복막도관을 몸에 삽입한 채 지내야 하나 면역력이 낮은 최 군에게는 도관이 지속적인 감염의 경로가 될 위험이 높았다.

신장 이식을 받으면 도관을 삽입할 필요는 없으나 면역억제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하므로 면역결핍 질환을 앓고 있는 최 군에게는 감염 재발 위험이 있었다.

지난해 11월7일 최 군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신장을 기증했고 5시간 동안의 대수술 끝에 어머니의 건강한 신장은 최 군에게 이식됐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최 군은 11월21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만성육아종병을 앓고 있는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신장이식을 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강희경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최 군의 성공적인 신장이식 사례는 합병증으로 고통 받고 있는 만성, 난치성 질환 환자들도 장기이식으로 건강한 삶을 되찾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