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점포 어쩌나”… 속타는 은행

입력 2013-08-02 10: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감원 “합치거나 폐쇄” 노조 “고통분담 직원 전가”

“적자 점포를 폐쇄하라”VS “고통분담을 직원에게 전가하는 술수에 불과”

금융감독당국이 은행권에 대해 영업비용 감축을 위해 지점 통폐합과 축소 등을 압박하고 있지만, 은행들은 노동조합 눈치 보느라 인력 구조조정은 엄두도 못내고 있다. 구조조정 없는 점포 수 축소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앞서지만 막강한 노조 파워가 이를 가로막고 있다.

2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말까지 각 은행 적자 점포 현황과 점포 효율화 방안을 보고받고 은행에 영업비용 감축을 위한 지점 통폐합과 축소를 권고하고 나섰다. 그동안 지점 통폐합 등을 금융기관 자율에 맡겨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권고사항은 사실상 지시에 가까운 셈이다.

금감원은 18개 국내 시중은행 점포 중 11%에 해당하는 900여 개가 적자점포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반기 지점 감축 계획이 없던 은행들은 일부 지점을 구조조정하고, 신규 출점은 자제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지난 상반기 14개 지점을 축소한 신한은행은 당초 계획에 없던 하반기 지점 통·폐합을 검토중이다. 하나은행은 지점 25곳을 줄이고 3곳을 신설해 하반기에 총 22개 지점을 줄이기로 했다.

통상 은행이 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됐을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몸집 줄이기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압박에 은행들이 다운사이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하다는 분석이 많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인력구조조정 없는 지점 축소는 효과에 있어 한계가 명확하다”며 “최근 지주 본부 슬림화와 인력의 영업인력 확충이 늘어난 상황에서, 일부 지점의 경우 인력이 포화되는 점포가 발생하는 등 지점 통·폐합으로 인한 인력 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장 확실한 비용 절감책은 인력감축이라는 것이다.

실제 은행들이 구조조정 등을 통한 적정 수준의 인력 유지로 1인당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직원 수는 2011년 12월 말 6만266명에서 지난해 12월 말 6만1119명으로 853명 증가했다. 이 기간 4대 시중은행의 당기순이익 합계는 7조4814억원에서 5조1728억원으로 2조3086억원(30.85%) 줄었다.

그러나 현재 점포 축소가 인력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되면서, 실제 구조조정이 진행될 경우 은행별 노조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구조조정 말만 나와도 노조가 들고 일어 날 것은 명확하다”며 “경영악화를 내세우는 금융당국과 은행 경영진에게 노조가 고통분담을 직원들에게 전가하는 술수에 불과하다는 등 할 말이 있다는 점이 대립각을 더욱 날카롭게 만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