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남자' 문재인...NLL논란ㆍ낙동강전투 등 잇단 책임론

입력 2013-07-26 0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으로 사면초가에 빠졌다. 회의록 공개를 주도했다가 ‘사초실종’이라는 전대미문의 사태에 직면하자 애매한 개인성명을 내 더욱 궁지에 몰린 형국이다.

25일엔 새누리당으로부터 검찰 고발까지 당했다. 사초 폐기 관련자로 지목받는 상황에서 검찰 수사가 시작된다면 문 의원 본인이 수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내 친노무현 진영에서도 ‘포스트 친노주자’를 찾아야한다는 말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이렇게 ‘문재인 책임론’이 확산된 것은 문 의원이 “NLL 포기가 사실이면 정계은퇴”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회의록 공개를 주도했기 때문이다. 진위를 가리기 위해 진행된 대화록 열람은 초유의 ‘사초 실종’ 국면으로 전환됐고, 침묵하던 문 의원은 개인성명에서 ‘NLL논쟁 종식’이라며 얼버무리려 했다.

당 내부적으로도 수세에 몰렸다. 대표적 ‘비노’인 조경태 최고위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무책임의 극치”라며 사실상의 정계은퇴를 요구했고, 비노 중진 김영환 의원도 “문 의원이 지금 어떤 말씀을 하셔도 자꾸 말을 바꾸는 것으로 보인다”고 가세했다.

문 의원의 정치적 위기는 이번만이 아니다. 그는 정치권에 발을 디딘 뒤 단숨에 야권의 차기 잠룡으로 거론됐고, 지난해 대선에선 야권단일후보로 나섰다. 하지만 문 의원이 당사자로 중심에 섰던 논란에서 분명한 입장을 내놓지 못해 ‘우유부단’한 이미지가 지적되기도 했다.

문 의원은 친노 인사들이 총출동한 지난해 4월 총선에서 부산지역 ‘낙동강 전투’를 이끌었고 중앙당의 지원이 쏟아졌지만 혼자 당선됐다. 이에 대해 문 의원 측은 “아쉽지만 부산에서 40%대 득표율은 성과”라는 반응을 내놨다.

대선 패배에 대한 명확한 유감 표명도 없었다. 패배 후 5개월간 잠행하다가 지난 5월 전당대회가 끝난 후 정치활동에 재개에 시동을 걸었다. 특히 대선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의원직 포기라는 배수진을 쳤지만, 문 의원은 지역구 주민들과의 약속을 내세워 이를 거부했다.

민주당 공식 대선 평가서에도 ‘대선과정에서 문 의원이 의원직을 내놓지 않은 것과 친노측근 인사들이 공직 진출을 포기 하지 않은 것도 패배의 원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