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장관 "ESS 보급확산 위해 지원책 강화"

입력 2013-07-15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LG화학 오창공장 방문해 강조… 전기요금 제도개선, 보조금 등 검토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확산을 위해 보조금 등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15일 산업부에 따르면 윤 장관은 이날 충북 오창 LG화학 배터리 생산공장을 방문, ESS용 중대형 배터리 생산설비를 확인하고 ESS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ESS는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기존 중소형 2차전지를 대형화하거나 회전에너지, 압축공기 등 기타 방식으로 대규모 전력을 저장하는 장치를 뜻한다.

윤 장관은 "앞으로 에너지절약을 시스템화하고 실시간 지능형 전력 수요관리를 구현하는 것을 정책목표로 삼고 ESS 보급확산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전력수요분산과 전력시스템 효율화를 위해 대규모 발전사업자에게 공급전력의 일정비율만큼 ESS 설치를 의무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전력다소비 수용가의 경우 ESS 활용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피크요금제 강화 등 전기요금 제도개선, 보조금 등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ESS는 전력수급 안정화,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확산의 핵심기술로 전력피크시엔 지능형 수요관리 자원으로 사용하고 정전시에는 비상전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수요가 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네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ESS 시장은 올해 16조원에서 오는 2020년 58조원 규모로 연평균 53%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들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ESS 활용촉진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에너지관리시스템(EMS)와 연계한 ESS 보급촉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는 IT와 ESS를 활용한 에너지수요관리 패러다임 전환 종합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며 "금명간 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