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정부에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과제’ 건의

입력 2013-07-10 11: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정부에 바라는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 정책과제 건의서’를 통해 “작년 기준 국내 신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로 OECD국가 중 최저”라며 “이는 미국(12.5%)과 일본(11.2%)의 7분의 1수준이며 노르웨이(96.6%), 오스트리아(67.9%), 독일(21.0%) 등 신재생에너지 선진국보다는 수십배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 매출성장률도 2010년 87%에서 2011년 13%까지 떨어진 가운데 풍력산업은 지난 2009년 이후 3년내리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먼저 신재생에너지 지원예산 확충을 요구했다. 상의는 “2013년 신재생에너지 총예산은 8512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4.7% 감소, 태양광발전보급지원 예산은 지난해 550억원에서 올해 261억원으로 53% 삭감됐다”며 “세계경기 불황으로 에너지산업 성장률이 위축된 상황에서 예산마저 줄면 정부가 내건 203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11% 달성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에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전력생산단가를 보조해주는 발전차액지원제도가 2012년부터 폐지되면서 중소규모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도산하는 등 업황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며 발전차액지원제도의 한시적 부활을 요구했다.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에너지절약시설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현행 확대(10→20%), 중소기업특별세액감면 대상에 신재생에너지발전 업종을 추가 등을 요청했다.

아울러 “풍력사업 입지제한 문제 등 신재생에너지의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를 신속히 개선해야 한다”며 “생태자연도 1등급지 중에서 이미 훼손된 지역이나 고랭지농사지역에 대해서는 풍력사업 인허가를 속히 처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상의는 △신재생에너지 전력계통연계 지원 △전기차·폐기물가스화 기술개발 지원 △신재생에너지설비 실증시험센터 설치 등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38건을 건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