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필리핀에 24억 규모 항로표지 원조사업 지원

입력 2013-07-02 11: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양수산부가 개도국의 해양사고를 줄일 수 있는 항로표지 원조사업에 발 벗고 나서 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해수부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내년부터 2년간 24억원 규모의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인 ‘필리핀 항로표지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 사업의 주요 추진 내용은 △항로표지 중·장기 마스터플랜과 발전계획 수립 △국제기구인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국제해상부표식(MBS) 통일방안 마련 △항로표지이용료제도 도입방안 등이다.

기존 필리핀 정부가 자체 수립한 ‘항로표지 마스터플랜’은 IALA 등 국제기구 관련 기준이 반영되지 않았다. 과거 미국 등에서 설치해준 항로표지는 노후화돼 해양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필리핀 해양경찰(PCG)에 따르면 지난 2001년부터 2010년 사이 연간평균 200건의 해양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87년 MV 도냐 파즈(Dona Paz)호가 침몰해 4375명이 사망한 역사상 최악의 해상 인명사고로 기록한 바 있다.

이러한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 ‘항로표지 마스터플랜’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 필리핀 영해는 대형 유조선과 화물선의 주요 통항로 상에 있으나 항로표지 해상부표식은 A·B방식을 혼용하고 있어 각국 선사나 항해자들의 해상부표식 통일방안 마련 요구가 끊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재인 항로표지를 이용하는 선박에 부과하는 세금인 항로표지이용료는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항로표지시설의 유지관리와 재투자를 위해 징수하고 있는 제도다. 2012년 필리핀 무상협력 대상사업 발굴을 위한 현지조사 시 필리핀 정부가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앞으로 제도 도입을 통해 필리핀 항로표지 운영 자립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해수부는 기대했다.

필리핀은 동남아시아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고 역내에서 영향력이 커 외교·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인접 국가들이 우리나라 선진 항로표지기술에 큰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업 추진으로 필리핀은 우리나라 선진 항로표지 설치·운영 기술을 전수받을 수 있게 됐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내 관련기업의 현지진출 활성화와 수익 창출 효과 등 해외시장 개척의 실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해수부는 해외 항로표지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도국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우리나라 항로표지 관련 기업의 해외진출을 다각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