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0.1%P 오르면 한해 이자부담 7000억원 ‘쑥’

입력 2013-07-02 11: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출금리 상승세가 본격화되면서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출구전략 논의가 본격화됨에 따라 국고채 금리 등 시장금리가 오르고 이에 연동되는 대출상품 금리도 전방위적으로 상승하면서 가계와 기업이 이자비용 직격탄을 맞게 됐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국고채 금리 등 시장금리의 고공행진으로 코픽스연동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모든 종류의 대출상품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가 예정대로 내년 상반기 축소되면 한국을 비롯해 신흥국으로 유입됐던 달러 이탈 현상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자금 이탈이 지속될 경우 대출 및 채권금리 등 시장금리 상승으로 결국 1000조원 규모의 가계부채에 시달리는 대출자들은 이자 부담에, 얼어붙은 회사채시장에 놓인 기업들은 자금조달 어려움에 각각 직면할 수밖에 없다.

최근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이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조선·해운·건설 등 경기 취약업종이 여전히 업황 불황에 시달리는 등 경기회복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금융권 대출금리 오름세는 가계와 기업을 더 어려운 상황으로 내몰 수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638조6000억원이다. 대출금리가 0.1%포인트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기업들의 연간 이자부담은 약 7000억원 늘어난다.

가계대출도 마찬가지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지난 4월 말 기준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725조9000억원으로 대출금리가 0.1%포인트만 상승해도 가계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비용은 연간 7000억원가량 증가한다. 특히 가계대출자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자가 78%에 달하고 있어 대출자 10명 중 8명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이자폭탄을 맞게 된다.

지표물인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달 19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발언을 한 이후 3.12%까지 올랐다. 불과 일주일 만에 0.31%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이달 들어 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 금리가 2%대로 내려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안심하긴 이르다. 김지만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5∼6월 미국의 양적완화 조기 출구전략 우려가 국내 채권시장의 모든 재료를 압도했다”며 “하지만 이달에는 미국발 쇼크가 진정되면서 국내 펀더멘털 부진과 높아진 금리 메리트(채권가격 매력도)에 따라 전달 채권금리 상승폭의 일부가 되돌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