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덫에 가계기업 ‘신음’…은행 대출 연체율 관리 ‘비상’

입력 2013-07-02 10: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말 가계신용대출 연체율 1.26%로 6년여 만에 최고

“최근 금융회사의 핵심 경쟁력인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종준 하나은행장은 1일 3분기 조회사를 통해 이같이 말한 후 “가계와 중소기업 등 모든 부문의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어 (올해) 목표했던 이익 달성이 어렵다”고 밝혔다. 김 행장은 임직원들에게 올 하반기 내실경영의 절실함을 피력했다. 이는 하반기 글로벌시장 변동성과 국내 경기침체로 가계와 기업의 대출 연체율 상승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정부가 내놓은 연체 채무자에 대한 구제 대책에도 불구하고 은행권의 대출시장은 깊은 수렁에 빠진 채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이 6년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기업대출 가리지 않고 금융권 대출 연체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은행권이 상반기 결산을 앞두고 연체율 관리에 나섰다는 점을 감안해도 시장금리 상승과 맞물리며 하반기에는 연체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 은행의 대출채권 및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1.26%로 전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2007년 2월(1.27%) 이후 최고치다. 연체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은행의 자산이 그만큼 부실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2009년 말 0.75%, 2010년 말 0.79%, 2011년 말 0.8%, 지난해 말 0.94% 등으로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1%를 밑돌았다. 그러나 올해 들어 1월 말(1.08%) 1% 벽을 넘어서며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실물경기가 악화돼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예적금담보대출 등의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5월말 기준 0.93%로 4월말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아파트 중도금대출 등 분쟁사업장이 많은 집단대출 연체율도 1.88%에서 1.93%로 올라갔다. 주택가격 하락으로 수분양자와 시행사 간 집단분쟁 사업장이 늘어나면서 연체규모가 커지고 있는 탓이다. 전국적으로 분쟁사업장 수는 64개로 연체율은 언제든지 상승할 수 있는 상황이다. 64개 분쟁사업장의 대출잔액은 2조2912억원, 연체잔액은 1조331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은행권은 하반기 연체율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은행들은 개인금융부 산하에 연체관리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가계, 기업 등 각 부문에서 하던 연체관리를 총괄적으로 운영한다는 복안이다. 올 상반기 기업여신 관리에 주력했다면 하반기에는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에 역점을 둬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를 최대한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은 “가계의 실질소득 정체와 부동산경기 회복세 둔화로 가계의 이자부담 상환 능력 또한 여전히 의문시되는 상황”이라며 “하반기에는 채무자가 연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컨설팅을 통해 이자 감면, 상환방식 변경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