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불사는 없다… 기업 구조조정 더 폭넓게 더 엄격하게

입력 2013-06-18 13: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실기업 ‘리스트’ 어떻게 작성되나… 재무상태·잠재리스크 고려

금융감독원과 시중은행이 이달 말 재무구조개선약정(워크아웃)을 체결할 대기업 계열을 선정해 발표한다. 이에 실질적 기업 구조조정이 본궤도에 오른다.

이미 은행권은 지난달 말 기준 30개 대기업 주채무계열에 대한 평가 작업을 마쳤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기업 채산성이 악화된 조선·해운·건설 등 취약업종의 추가 부실이 표면화되면서 구조조정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금융권에선 ‘다음 타깃은 ○○사가 될 것’이라는 식의 루머가 돌아 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STX팬오션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계기로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더 이상 ‘대마불사’ 원칙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당초 예상보다 구조조정의 폭이 넓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조선·해운·건설 등 취약업종에 대해 4월부터 신용위험 평가를 실시해 왔으며, 이달 말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라며 “지난해보다 대기업 영업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 3대 취약업종에 속한 기업을 가진 그룹이 올해도 재무구조개선약정을 맺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6월 한진, STX, 금호아시아나, 동부, 성동조선, 대한전선 등 6개 계열기업이 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했다. 올해는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감축해야 할 재무구조가 취약한 대기업그룹이 최소 6∼7곳 선정돼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번 평가에선 재무상태뿐만 아니라 잠재 리스크까지 감안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선정, 예년에 비해 고강도 구조조정이 예고되고 있다. 일부 대기업들의 경영사정이 다소 개선되긴 했지만 여전히 상황이 좋지 않은 그룹이 적지 않다는 게 은행권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은행권은 이번 대기업 주채무계열에 대한 평가작업에서 크게 5개 부문에 역점을 뒀다. 그룹 평가 시 △실질 부채비율 △수익성(영업이익률) △채무상환능력(이자보상배율) △재무안전성 △현금흐름(유동성) 등 5가지 항목을 점수로 산정했다. 총점 기준으로 기준점수를 넘으면 괜찮다는 평가를 받고 그렇지 않으면 재무구조개선약정을 맺게 된다.

금융당국이 아직까지 구체적인 평가 결과를 언급하고 있지 않아 속단하기는 어렵지만 조선, 해운, 건설 등 경기 민감 업종을 갖고 있는 그룹의 재무구조개선약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각에선 경기침체가 예상 외로 심각해 오히려 추가로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대 취약업종 예상부도확률에서 건설업이 9.1%로 가장 높았다. 해운과 조선이 각각 8.5%와 5.9%로 뒤를 이었다.

한편 금감원과 시중은행은 대기업 주채무계열에 대한 평가작업과 별도로 금융권 대출규모가 500억원 이상인 개별 대기업에 대한 평가도 실시했다. 개별 채권은행의 기본평가를 거쳐 재무구조 취약기업에 대해선 상세평가를 진행한다. 지난해 1806개 대기업 중 549개사를 세부평가대상으로 선정하고 건설사, 조선사, 반도체업체, 디스플레이업체 등 36곳을 C등급과 D등급으로 분류했다.

특히 올해는 예년보다 점검 업종과 기업 규모를 확대했다. 철강, 시멘트, 유화 부문 대기업도 새로 신용 요주의 업종으로 분류됐다. 평가 결과에 따라 C등급 기업은 워크아웃, D등급 기업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또는 자체 정상화 수순을 밟아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채권은행들이 4월부터 진행 중인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를 원칙에 따라 엄격히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실제 점검 대상도 지난해보다 늘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