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해수욕장 이안류 조기경보·해파리 대응 방안 마련

입력 2013-06-11 11: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지난해 해수욕장에서 이안류(역파도) 사고와 해파리 피해 사례가 급증하자 종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해양수산부는 해양경찰청과 함께 ‘안전하고 쾌적한 해수욕장’을 만들기 위한 종합적인 방안을 마련해 11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해수부와 해경은 ‘불만 제로(Zero), 사망사고 제로(Zero)’ 해수욕장 조성을 목표로 △4대 위협요인(이안류, 해파리, 위생, 안전사고)에 대한 사전예방 강화 △신속한 사고대응체계 구축 △해수욕장 품질을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먼저 이안류 예보를 현행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제주 중문, 충남 대천 등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이안류는 해안으로 밀려오다가 갑자기 먼바다로 빠르게 되돌아가는 역파도를 말한다. 지난해 418명이 이안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또 지난해 해수욕장에서 2039명이 해파리에 쏘여 그 중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해파리 등 유해생물이 출현하면 안내방송과 함께 신속한 수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해운대와 을왕리해수욕장에 해파리 유입 차단망을 시범적으로 설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위생 관리를 강화하고자 선진국과 같이 대장균을 수질 감시 항목으로 선정하고, 모니터링 횟수도 2배 이상 강화했다. 해수욕장 주변 쓰레기도 신속하게 처리할 예정이다. 이밖에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유리병 반입 안하기 운동’ 등을 실시해 쾌적한 해수욕장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해수부는 신속한 사고대응을 하고자 ‘122 인명구조전경대’(180명) 창설과 성범죄 예방을 위해 성범죄 특별수사대를 확대(1개소→5개소)하기로 했다. 또 24시간 해상안전센터(50개소)를 운영 하는 등 범죄 사각지대를 적극 없애기로 했다.

해수욕장 품질의 지속 개선을 위해 해수부는 관련 법ㆍ제도 정비도 추진한다.

한편 해수부는 7월 초부터는 이용객들이 안전하게 해수욕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안류나 해파리 쏘임 시 대처방법 등을 담은 리플렛(전단지)도 배포하는 등 집중적인 계도활동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