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서로 다른 ‘남북당국회담 서울 개최 합의문’ 발표 왜?

입력 2013-06-10 08:55수정 2013-06-10 13: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회담 의제·참석자 관련 2개 조항 각각 다르게 발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의 현안을 풀기 위한 남북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 사무실에서 협회 관계자들이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 왼쪽) 서울 종로구 연지동 현대아산 사옥에서 금강산 관광 관련 관계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남북 당국이 10일 새벽 끝난 실무접촉에서 남북당국회담을 12∼13일 서울에서 개최키로 하고 이에 대한 합의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회담의 의제와 참석자 등을 두고 진통을 거듭하면서 결국 2개 조항에 있어 남북이 각각 다른 내용으로 합의문을 작성, 발표했다.

서로 다르게 발표한 조항은 회담 의제를 담은 제3항과 참석자를 다룬 제4항이다.

우리 정부는 3번 조항을 ‘회담에서는 개성공단 정상화 문제,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 이산가족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 등 당면하게 긴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를 협의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북한은 ‘회담에서는 개성공업지구 정상화 문제,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 6·15 및 7·4 발표일 공동기념 문제, 민간래왕과 접촉, 협력사업 추진 문제 등 북남관계에서 당면하고도 긴급한 문제들을 협의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했다.

남북이 개성공단의 정상화와 금강산 관광 재개,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주의 문제 등 3가지에 의견을 같이 한 가운데, 북측이 △6·15 및 7·4 발표일 공동기념 문제 △민간 왕래과 접촉 △협력사업 추진 문제 등 3가지를 추가한 것이다.

우리 정부는 또 4번 조항에서 ‘회담 대표단은 각기 5명의 대표로 구성하기로 합의하였고, 남측 수석대표는 남북문제를 책임지고 협의·해결할 수 있는 당국자로 하기로 하였다’고 했다.

반면 북한은 ‘회담대표단은 각기 5명의 대표로 구성하되, 북측 단장은 상급 당국자로 하기로 하였다’고 다소 모호하게 기재했다.

당초 정부는 참석자를 양측의 남북문제 최고책임자인 통일부장관과 통일전선부장으로 못 박을 것을 요구했지만 북한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은 자신들이 제시한 모든 사안들을 명시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면서 “이에 따라 의제에 관한 남북 간 발표문의 차이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제를 일일이 열거하여 제한하기보다는 ‘당면하게 긴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포괄적인 표현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