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도발 맞대응·윤창중 사건 직접 사과… 인선에선 악재 스타일
명과 암은 엇갈렸다. 우선 안보에 있어선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박 대통령은 연이은 도발 위협과 개성공단 잠정폐쇄의 어려움 속에서도 북한의 전술에 끌려다니지 않고 핵 불용 방침 속에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는 일관된 대북메세지로 대응했다. 이 때문에 안보위기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해 왔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원칙 있는 대북정책으로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정책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를 얻어내는 외교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첫 외교 공식무대 데뷔전을 얼룩지게 한 윤창중 성추문 사태에도 이같은 원칙은 어김없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직접 나서서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 여론에 직접 호소했다. ‘윤창중 정국’을 정면 돌파하려는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국정을 빠르게 정상화시키려는 노력은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원칙과 소신주의는 부작용을 낳았다. 협상이나 타협의 여지가 적었다는 점에서다. 지난 3월 4일 대국민담화에서 정부조직개편안의 발목을 잡고 있는 야당을 향해 “국정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것은 헌정 사상 초유의 일”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하지만 사실상 야당을 압박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논란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보다는 실속없이 정치권의 반발만 불러왔다는 지적이 일었다.
역대 정권 중 최악의 인사 참사가 빚어진 것도 소통이 없는 박 대통령의 ‘나홀로 인사’ 스타일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대통령 당선인 시절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자진사퇴한 것을 시작으로 정부 출범 100일동안 박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 인사 중 무려 14명이 낙마했다. 여기에 ‘박근혜 인사 1호’인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파문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인사실패로 100일을 보낸 것이나 다름없다”는 혹독한 비판을 받아야만 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00일간 현장을 누비며 주문을 쏟아내고 꼼꼼히 국정을 챙기는 모습도 많이 보여줬다. 이는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스타일과도 꼭 닮아 있었다. 박 전 대통령도 현장을 자주 찾았고, 소숫점 단위의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가며 관계자들을 독려했다.
다만 대통령이 만기친람(萬機親覽, 임금이 모든 정사를 친히 보살핌) 식으로 직접 깨알 같은 지시를 내리는 일이 반복되자 참모들은 대통령의 입만 바라보게 됐고 관료들의 복지부동은 심해졌다. 책임총리, 장관은 보이지 않고 대통령 1인에게만 의존하는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시스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취임 100일을 맞는 청와대의 분위기에도 이러한 박 대통령의 성격과 스타일은 그대로 묻어난다. 박 대통령은 별다른 행사 없이 평소와 다름없이 취임 100일을 맞는다. 과거 정권들이 특별사면이나 기자회견을 100일을 기념한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이는 보여주기식 떠들썩한 이벤트를 싫어하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정부조직 개정안의 지연으로 인한 내각 지각 출범, 인사 실패와 불통 등으로 국민대통합, 정치쇄신 등에 있어 취임 100일이 지나도록 별 성과를 내지 못한 것도 그 배경으로 분석된다. 이전 이명박 정부가 출범 초 ‘강부자·고소용 인사’와 쇠고기 파동으로 반성의 시간을 보낸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국민에게 100일의 성과와 과제를 보고하고 향후 국정운영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기회가 마련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쉽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제라도 취임 100일의 의미를 되살려 국정로드맵을 재점검하고 다시 국정쇄신에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으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