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대책 발표 두 달…시장 온도차 심해

입력 2013-05-29 21: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개월 만에 시장 위축 우려

정부가 부동산거래 활성화를 위해 4·1종합대책을 발표한지 2개월이 지났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두 달 동안 상승했고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도 늘어났다. 강남 재건축 아파트 중에선 2개월 동안 최고 1억원 넘게 뛴 곳도 있다.

그러나 공인중개업자와 집주인, 실수요자들은 가격 상승과 거래 활성화 등 대책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집주인들이 상승 기대감에 가격을 높여 호가만 뛰었고 일부 급매물만 소화되는 데 그쳤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또 다음 달 취득세 면제 혜택 종료 시점과 맞물려 4·1 대책의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2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4·1 대책이 발표되기 직전인 3월 29일 대비 0.0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광역시 아파트 가격은 0.26% 올랐다. 두 달 동안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대구로 0.4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경북(0.32%) △세종시(0.28%) △충남(0.14%)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두 달 0.01%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서울(-0.01%), 경기(-0.02%), 인천(-0.07%) 등 모두 약세였다.

4·1 대책 발표 후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은 하락했으나 거래는 늘어났고 강남 중심 재건축 아파트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4월과 5월(28일 기준)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총 1만644건으로 지난해 동기(7685건)보다 38.5% 증가했다.

서울 일반 아파트 매매가격은 두 달간 0.16%의 하락률을 기록했으나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0.96% 상승했다.

또 대책 발표 후 강남 일부 재건축 단지의 매매가격은 크게 뛰었다.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공급면적 115.70㎡) 매매가격은 두 달 새 9억8500만원에서 11억1000만원으로 1억2500만원 상승했다.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 한신1차(공급면적 92.56㎡) 가격은 현재 16억2500만원으로 두 달동안 7500만원 올랐다.

면적별로는 중소형만 강세였다. 수도권 아파트 중에서 면적이 60㎡ 이하와 60∼85㎡ 이하는 각각 0.03%, 0.02% 상승했고 85㎡ 초과는 0.09% 하락했다.

실제 시장참여자들도 4·1 대책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일부 싸게 나온 급매물만 팔렸을 뿐 가격 상승과 거래 활성화가 본격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매수자들은 2∼3주 전부터 관망세로 돌아섰고 매도자들은 상승 기대감에 호가를 올리거나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고 수도권 중개업자들은 입을 모았다.

이들은 강남 재건축 일부만 그나마 움직였을 뿐 강북 소형 아파트까지는 온기가 퍼지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거래가 살아난 것으로 알려진 강남 곳곳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역력하다. 송파 잠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다음달 말 취득세 감면 조치가 끝나면 시장 분위기가 위축될 것으로 우려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매수자들이 2∼3주 전부터 관망세로 돌아섰다. 여름 비수기에 접어들어 취득세 감면 조치까지 종료되면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