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유연근무제 활용 8.1%…선진국에 크게 못 미쳐

입력 2013-05-19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성과 청년 고용률과 일자리 창출을 높일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공공기관이 주요 선진국보다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2013년 1분기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추진현황’에 따르면 전체 295개 공공기관 중 207개 기관의 유연근무제 도입률이 8.1%로 나타났다. 이는 주요 선진국의 유연근무제 도입률이 50%를 넘는 것을 고려하면 큰 격차를 보였다. 유연근무 활용 인원수 기준으로는 지난해 1분기보다 44.7% 늘었다. 지난해 유연근무제 활용기관이 24개에서 올해 207개로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유형별로 보면 일감이 많을 때는 근로시간을 늘리고 일감이 적을 때는 줄이는 탄력근무제의 활용인원이 1만6851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중 시차출퇴근형에 93%(1만5686명) 몰려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근무시간선택형(781명), 집약근무형(326명), 재량근무형(58명)은 아직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도입을 하고 있지 않은데다 직원의 활용이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풀이됐다.

시간제근무(단시간근로제)로는 6683명이 근무 중이며 원격근무제도 884명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시간근로제 가운데 처음부터 시간제근무로 채용된 채용형은 6386명, 신청에 의해 전일제근무에서 시간제근로로 전환하는 전환형은 297명의 실적을 보였다. 특히 전일제근무에서 단시간근로 전환은 30대 여성이 출산·육아를 위해 1년 이내 기간에서 전환하는 사례가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격근무제는 20개 기관만 실시하고 있는 등 다소 미흡한 실적을 보여줬다. 미국 기업의 51.0%가 재택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앞으로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스마트워크화 추세 등 고려 시 유연근무 유형을 한층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유연근무제 실적이 없는 기관은 88개로 도입 중인 기관이 31개, 기관 특성상 도입이 곤란한 기관 34개, 직원이 수십명 미만인 소규모 기관 14개, 직원 미신청 기관 9개로 나타났다.

기재부는 이러한 기관에 대해서는 시행이 상대적으로 쉬운 시차 출퇴근제 시범도입을 권고하는 등 기관 실정에 맞는 유연근무제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또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해 기재부는 고용노동부 산하 노사발전재단과 공동으로 추진 중인 유연근무제 컨설팅을 통해 유연근무제 모범사례를 정립할 예정이다. 또 공공기관 유연근무 관계자 간담회, 설문조사 등을 통해 유연근무제 다양화와 유연근무 활성화의 애로요인을 파악해 개선방안 마련을 추진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