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복 바지, 비싸다고 무조건 질 좋진 않아"

입력 2013-05-01 11: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소비자시민모임 평가

등산복 바지의 품질이 가격과는 무관한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아웃도어 브랜드 11개 제품, 중저가 홈쇼핑 판매 제품 3개, 인터넷 판매 제품 1개 등 등산복 바지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시험·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소시모 조사 결과 블랙야크·레드페이스·컬럼비아·트레스패스 제품은 내구성 측면에서 한국소비자원의 섬유제품 권장 품질 기준에 미달했다.

블랙야크 등산복 바지(17만8000원)는 스내깅이 2-3급으로 다른 제품에 비해 올이 천 표면에서 돌출될 가능성이 높았다. 보온성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레드페이스 제품(17만2000원)은 옷이 햇빛에 변색될 가능성인 일광견뢰도가 높은 편이었다. 땀을 밖으로 배출하는 투습도는 ‘보통’으로 기능성 측면에서 조사 대상 제품 중 가장 떨어졌다.

컬럼비아 제품(16만8000원)과 트레스패스 제품(11만9000원)은 일광견뢰도가 3~4급으로 나타나 내구성이 낮았다.

콜핑, 매그너스, 에코로바 제품 등도 내구성과 기능성 면에서 권장 품질 기준에 미달했다.

조사 대상 중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은 노스페이스와 아이더 등산복 바지였다.

노스페이스 제품(18만 원)과 아이더 제품(19만 원)은 내구성 및 물에 젖지 않는 발수도 측면에서 권장 품질 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보온성과 투습도도 타사 제품에 비해 우수했다.

칸투칸과 K2 제품도 내구성, 기능성 등 품질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칸투칸 제품(7만9800원)은 조사대상 제품 중 가격이 가장 저렴하면서 기능성 및 내구성은 노 측면에서 매우 우수했다.

15개 제품에 표시돼 있는 혼용률 확인 결과 컬럼비아, 아이더, 레드페이스, 칸투칸, 트레스패스 등5개 제품이 표시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품들은 2종의 원단을 접착해 사용하고 있지만 제품 표시 라벨에는 표면에 사용된 원단 혼용률만 표시돼 있었다.

안정성 부문에서는 15개 전 제품 모두가 기준에 적합했다.

소시모 관계자는 “아웃도어 제품 품질에 대한 소비자 선택 정보를 점검해 개선해야 한다”며 “제품 혼용률 표시 등은 고시에서 정하고 있는 권장사항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