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 조선·건설·해운 지원에 5조원 푼다

입력 2013-04-29 11: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이 건설·조선·해운 등 세계 경제침체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3대 취약산업에 올해 총 5조원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수은은 29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중소·중견 해외건설업계 초청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수은은 우선 올해 중소·중견 건설사의 해외 진출에 총 1조원의 금융을 제공키로 했다. 해외 건설공사의 이행성보증을 발급할 때는 무담보 신용취급을 크게 늘릴 방침이다. 이행성보증은 공사계약 이행 전 발주자가 요구하는 은행보증서다. 이는 신용도가 낮은 기업도 우수한 해외사업에 참여하면 재무상태나 담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신용취급을 해주겠다는 뜻이다.

신용도가 열악한 중소·중견건설사에 제작자금을 지원할 때는 에스크로 계좌(건설사의 공사대금이 입금되는 계좌)를 설정, 신용취급을 확대키로 했다.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재원이 확실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중소·중견건설사에는 수출팩토링을 적극 취급해주기로 했다. 수출팩토링은 해외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기성대금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이 매입, 건설사에 자금을 지원해주는 제도다.

업황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조선사에는 총 3조5000억원의 선박제작금융을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일률적으로 적용하던 소진한도 방식과 함께 회전한도 방식을 선박제작금융에 적용키로 했다.

소진한도 방식은 연간 한도 내에서 승인하는 방식. 회전한도 방식은 마이너스통장처럼 대출금을 갚으면 그만큼 새로운 한도가 생기는 방식이다. 수은은 회전한도 도입으로 총 2조원의 한도 확대 효과가 생길 것으로 기대했다.

국내 조선사에서 선박을 구매하는 해외 수입자의 발행 채권에 대해 수은이 보증하는 ‘선박프로젝트채권 보증 제도’도 도입된다.

자금난을 겪는 해운사에는 총 5000억원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기존 외항선박구매자금, 중고선박구매자금, 포괄수출금융 외에 외항선박운항자금을 새로 도입키로 했다.

수은 관계자는 “건설, 조선, 해운 등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부문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며 “필요하다면 추가 지원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