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속 민주 경선…'김한길 vs 이용섭' 2파전으로 압축

입력 2013-04-29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기정 사퇴, 친노 결집하나 … 安 정계개편도 변수

민주통합당 당 대표 선거가 비주류 측 김한길 후보와 범주류 측 이용섭 후보의 양자 대결로 압축됐다. 범주류 강기정 후보는 이 후보 지지를 밝히며 28일 후보직에서 전격 사퇴했다.

이에 따라 ‘김한길 대세론’에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앞서 일부 여론조사에서 이·강 후보 단일화시 김 후보와의 격차가 상당히 좁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한길 대세론’에 맞서 친노(친노무현) 주류가 어느 정도 결집할지도 관건이다. 대선 패배 책임론 등으로 몸을 낮춰왔던 친노 측이 조직적인 세 결집을 통해 이 후보를 적극 지원할 경우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범주류 측 단일 후보가 된 이 후보는 내심 주류 측 표심이 몰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단일화 파괴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이·강 후보의 단일화가 뚜렷한 명분이 없고, 당대표 자리와 내년 지방선거 광주시장 후보직을 염두에 둔 ‘자리 나누기’식 담합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친노 주류 측이 이 후보의 전폭 지지에 나설 경우, 당내 반감 확산과 비주류의 결속력 강화 등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29일 라디오방송에서 “친노가 조직적으로 활동할 시점도 아니고, 저에 대해서도 조직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을 밝힌 바가 없다”면서 “각자 판단에 따라 지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단일화 효과에 대해선 “초반에 김한길 대세론이 있던 건 사실인데 지금은 판세가 뒤집어 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관계 설정도 전부 승부의 변수로 떠올랐다. 비주류 측은 안 의원을 협력적 파트너로 인정하자는 우호적 입장인 반면, 주류 측은 안 의원 측을 견제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오전 당무위원회를 열어 당 노선을 ‘중도’로 강화하는 강령·정강정책을 최종 손질했다. 개정 논의 과정에서 당내 ‘우클릭’에 대한 비판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주류와 비주류 간 기싸움이 더욱 격화된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