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금리차별 더 심해졌다

입력 2013-04-23 06: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기업의 기초체력은 점차 나아지고 있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대출금리 차별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03년 대기업의 차입금 평균 대출금리는 연 6.15%, 중소기업은 연 6.71%로 그 차이는 0.56%포인트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지난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출금리 격차는 1.08%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대기업의 대출금리가 연 4.64%로 뚝 떨어진 반면 중소기업은 연 5.72%로 내려가는데 그쳤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대출금리 하락폭은 1.51%포인트, 중소기업은 0.99%포인트였다.

문제는 이 기간 중소기업의 수익성 개선 추이가 대기업보다 훨씬 나았다는 점이다.

대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03년 8.7%에서 지난해 4.79%로 거의 반 토막 났다. 금융위기 등을 겪으며 국내외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진 탓이 컸다.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은 이 기간 3.71%에서 4.28%로 되레 올랐다. 독자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강소(强小)기업'이 점차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은행의 대출심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재무건전성 측면에서도 중소기업은 양호한 모습을 보여준다.

지난해 대기업의 부채비율은 94.9%였지만, 중소기업은 77.25%로 이보다 되레 낮았다.

부채비율과 함께 재무건전성의 중요 지표인 차입금 의존도에서도 대기업은 25.15%, 중소기업은 24.3%로 중소기업이 오히려 나았다. 차입금의존도는 총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한은 관계자는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중소기업의 펀더멘털 개선을 다소 반영하지 못한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의 `손톱 밑 가시뽑기'를 위해서는 은행들이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보일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이동주 동반성장연구센터장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경기위험에 더 취약한 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중소기업의 점진적인 펀더멘털 개선을 감안한다면 지나친 대출금리 격차는 시장 원리에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센터장은 "중소기업이 제공하는 담보를 평가절하하거나 신용도를 대기업보다 무조건 낮게 책정하는 관행을 개선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