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직원 대선개입 수사결과 놓고 경찰 내홍 왜(?)

입력 2013-04-20 12: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가정보원 직원의 대선개입 의혹이 여전한 가운데 경찰이 내홍에 빠졌다.

서울 수서경찰서의 수사결과 발표에 맞춰 고위층의 부당한 수사개입이 있었다는 현직 경찰 간부의 주장이 이어지면서 경찰 조직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지난 18일 수서경찰서가 국정원 직원 김모·이모씨와 일반인 이모씨를 국정원법위반(정치 관여 금지)에 따른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 이제 검찰이 진실규명을 맡게 됐지만 후폭풍이 경찰을 강타하고 있는 모양새다.

수서경찰서가 4개월만에 수사결과를 내놨지만 부실 수사 논란은 여전하다. 이런 상황에서 초기 수사를 지휘했던 권은희 수서경찰서 전 수사과장(현 송파서 수사과장)이 제기한 '수사 축소·은폐 지시' 의혹은 불난 데 기름을 부은 격. 배경에는 수사실무팀과 고위층의 불협화음이 자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통령 선거 사흘 전 당시 경찰은 대선후보들의 TV 토론이 끝나자마자 보도자료를 내고 "대선후보와 관련한 국정원 직원의 지지·비방 댓글 흔적은 없다"는 내용의 중간수사결과를 밝혔다.

당시 수사팀을 이끌던 권 과장도 예상치 못했던 보도자료에 당황했다. 이와 관련, 권 과장은 "수사책임자가 알지도 못하는 보도자료라는 게 있을 수 있느냐, 뭔가 속은 느낌이었다"고 심경을 전했다. 단지 컴퓨터 하드디스크에서 추출한 몇 개 키워드만 가지고 '댓글 흔적 없다'는 결과를 공표하는 게 비정상적이었기 때문이다.

경찰에서는 이같은 권 과장의 태도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당시 이광석 수서경찰서장을 비롯한 경찰 고위층과의 마찰이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당시 권 과장은 적정한 범위에서 수사 경과를 설명하고 관련 사실 여부를 기자들에게 확인해 줬다. 이 과정에서 윗선은 김씨의 혐의 사실이 공표되는 데 상당한 부담을 느꼈고, 권 과장을 비롯한 실무팀에게 '함구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갈등 속에서 '원칙 수사'를 강조하던 권 과장은 끝내 수사에서 손을 떼야 했다. 반대 여론을 의식한 경찰 고위층은 권 과장을 수사 마무리까지 새 수사과장과 합동수사하도록 했으나 권 과장이 거절했다.

국정원 직원 대선개입 사건 1기 수사팀을 이끌던 권 과장의 폭로가 나오자 '윗선'으로 지목된 서울경찰청은 19일 즉각 해명 보도자료를 내고 반박했다.

서울경찰청은 김씨 컴퓨터 하드디스크에서 분석할 키워드 개수를 줄이라며 개입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대선과 상관없는 단어들이 많아 '박근혜' '새누리당' '문재인' '민주통합당' 등 핵심 키워드 4개를 선정했다고 주장했다.

서울청은 또 김씨가 스스로 참관을 거부해 분석과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경찰 내홍은 진실게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