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 “수입 명품 100개 이상 갖고 있다”

입력 2013-04-10 0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성인 1인당 평균 9개 보유…연평균 2개 구매에 271만원 지출,“해외가 30% 더 싸”

▲인천공항 루이비통 매장.
3초마다 눈에 띌 정도로 많이 팔려 ‘3초백’이라는 별명이 붙은 루이비통 스피디. 이런 가방을 사기 위해 대한민국 성인 1명은 1년에 270여 만원을 들여 2개의 명품을 새로 구매했고, 1인당 평균 9개 정도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 소비가 이처럼 전 세계 5위권에 달하지만, 가격은 구매력 기준으로 주요 선진국에서 두번째로 비쌌다.

10일 한국소비자원이 20세 이상 수입 명품 구입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구찌와 샤넬, 프라다 등 수입 명품을 평균 8.81개 보유했다.

값비싼 수입명품을 1~3개 갖고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37.9%로 가장 많았고 4~5개가 22.4%, 6~10가 21.9%였다. 11~15개의 명품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은 5.7%였고, 50개 이상도 3.4%, 100개 이상이라는 응답도 0.9%였다. 대한민국 1%는 명품 브랜드를 평균 보다 10배 이상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연간 수입 명품 구매에는 평균 271만원을 썼다. 응답자의 5.2%는 1000만원 어치의 명품을 샀고, 2000만원 이상 지출하는 응답자도 1.9%나 됐다. 이들은 전체 근로자 평균 연봉(2817만원)에 달하는 돈을 명품 소비에 쓰고 있는 것이다.

명품을 사는 이유로는 ‘자기 만족’(49.1%)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품질 우수’(20.6%), ‘남들이 많이 사용’(13.1%)이라고 응답했다.

명품 구매 장소는 백화점이 45.5%로 가장 높았고, 면세점(19.2%), 인터넷·홈쇼핑(14%)이 뒤를 이었다. 명품을 사기 위해 해외로 원정을 간다는 답변도 있었다. 응답자의 22.1%가 수입 명품을 사려고 해외 여행을 했고, 다른 해외 여행자에게 수입 명품 구매를 부탁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53.5%에 달했다. 명품 구매를 위해 다른 비용을 절약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37.4%에 달할 정도로 명품에 대한 욕구가 꽤 높았다.

국내 수입 명품 시장 규모는 2010년 현재 5조원으로 매년 10% 이상 성장세가 가파르다. 하지만 명품 가격은 해외보다 비싸 한국인 명품 판매 회사들의 ‘봉’이라 불릴만 했다.

소비자원이 루이뷔통 등 주요 선진국에서 공통으로 판매되는 명품 가방류 50개 가격을 분석했더니 구매력 지수 기준 한국(100)이 대만(133.7)에 이어 가장 비쌌다. 외국 평균은 70.5에 불과했다. 같은 제품이 우리나라에서는 30% 이상 비싼게 팔리고 있던 것이다.

반면 국내 수입 명품에 대한 소비자 피해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2008년 154건에 불과했지만 2009년 279건, 2010년 325건, 2011년 467건으로 늘었다. 2008~2011년 수입 명품 피해 접수 품목은 의류(46.9%), 가방·지갑(38.9%), 신발(6.1%) 순이었다.

.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