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미래 100년 도시계획’ 토대 구축한다

입력 2013-04-01 11: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도시계획 헌장’연말까지 제정키로

서울시가 100년 앞을 내다본 도시계획의 원칙을 담은 '서울 도시계획 헌장' 제정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근대 도시계획이 시작된 지 100년을 맞아 올해를 원년으로 차별화된 미래 도시계획 100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1일 밝혔다. 서울의 도시계획 체계를 정교하게 보강함으로써 '계획의 틀'을 마련하고 시민과 전문가 등 서울의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참여해 만들어가는 '논의의 장'을 구축해 나간다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우선 도시계획 헌법격인 '서울 도시계획 헌장'을 만들고, 그 아래 '2030 서울 도시기본계획'과 2~3개 동(洞)을 단위로 한 생활밀착형 '생활권 계획'을 방안을 만들기로 했다.

도시계획 헌장에는 '도시계획 수립시 시민이 참여한다' 또는 '역사문화유산은 온전히 보전계승한다', '토지이용은 보행과 녹색교통·대중교통 위주로 한다' 등이 담긴다. 지난해 8월부터 운영해온 '도시계획 정책자문단'의 초안을 기초로 올해 말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최상위 법정계획인 '2030 서울 도시기본계획'은 오는 5월 발표될 예정으로, 109명의 시민과 전문가, 공무원 등이 '소통과 배려가 있는 행복한 도시'를 중심으로 목표와 전략 등을 제시한다. 신설되는 '생활권 계획'은 2~3개 동(洞)의 생활밀착형 소생활권 단위로 짜여지며,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으로 이뤄진 계획체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서울의 도시관리 패러다임도 계획 환경 변화에 맞게 '개발과 정비'에서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으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시는 한정된 토지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전문가, 시민 협업 속에 공익성이 담보된 좋은 개발,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을 실현할 '공공개발센터'를 본격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한강변과 한양도성 안과 같은 중요지역에 대해서는 별도의 관리 기본계획이 수립된다.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은 올 상반기 수립에 착수해 2년여에 걸쳐 모습을 갖춰 나갈 계획이며, 한양도성 안에 대한 '역사도심 관리 기본계획'은 2014년 3월까지 완성할 예정이다.

시는 이밖에도 도시계획 수립~실행 전 과정에 세입자, 상인, 주변지역 주민 등 서울의 다양한 구성원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조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원순 시장은 "씨앗을 뿌리는 농부의 심정으로 서울의 100년 도시계획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시민이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좋은 도시, 위대한 도시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