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워크아웃 개시… 채권단 "자금투입 최소화, 매각작업 필수"

입력 2013-03-04 15: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쌍용건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4일 최종 결정됐다. 우리, KB국민, 신한, 하나, KDB산업은행 등 총 40개 채권단 중 34개 기관이 참석해 제1차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열어 채권금액 1조3625억원의 95%(의결권 기준) 찬성으로 워크아웃 개시를 가결했다.

이에 채권단은 쌍용건설의 자산과 부채 등의 정밀실사를 통해 쌍용건설의 존속능력 평가를 진행한다. 구체적인 회생방안은 실사 결과를 토대로 이뤄질 예정이다. 그러나 워크아웃 개시 후 다양한 갈등이 표출될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는 지적이다. 일부 채권단의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쌍용건설의 해외부문 경쟁력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되지 않았다.

이날 채권단 내부에서는 출자전환 등을 통해 자본잠식이 제로베이스가 되면 손실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쌍용건설 매각작업에도 가속도를 낸다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쌍용건설 워크아웃 수용…3월 정밀실사가 관건= 채권 은행들은 실사 결과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당장 쌍용건설에 공급하게될 유동성은 약 1500억원 규모로 추산하고 있다. 채권단의 출자전환 규모는 총 부채 1조5910억원 중 무담보채권 3000여억원 수준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8년 만에 워크아웃을 다시 진행하는 쌍용건설의 앞날은 산 넘어 산이다. 무엇보다 워크아웃 개시 후에 복합적인 갈등이 드러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현재 연말까지 쌍용건설 지원에 필요한 자금을 1500억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정밀실사가 이뤄지면 이보다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채권단은 쌍용건설의 해외건설 부문 경쟁력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있다. 여기에서 예상을 뛰어 넘는 추가 부실이 드러날 경우 채권단의 유동성 지원이 계속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쌍용건설이 이번에 가까스로 부도를 막았다 해도 워크아웃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며 “불확실한 건설경기 흐름상 수천억원의 추가 지원은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한달 반 간의 실사를 거쳐 4월 말 쯤 경영정상화 계획(MOU)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실사 결과 신규자금 지원규모나 출자전환 규모가 예상보다 크게 나올 경우 채권단 내부적으로 지원 배분액이나 지원 자체에 대한 찬반으로 양분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법정관리로 전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워크아웃·M&A 동시 진행= 쌍용건설의 매각작업은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채권단은 내부적으로 매각과 워크아웃을 동시에 진행하는 프리 패키지(Pre-package) 워크아웃 방식을 원하고 있다. 워크아웃 기간 중에 인수자를 미리 정해놓고 잠재적 인수자간 협의를 거쳐 워크아웃과 회사 매각을 병행하는 방식이다. 지난 2001년에 진행된 캠코의 동아건설에 대한 프리패키지 M&A가 대표적 사례다. 동아건설의 최대 담보권자인 동시에 2대 파산채권자인 캠코는 동아건설을 살린다면 기업가치를 높여 공적자금을 더 많이 회수할 수 있고, 회사 파산으로 직장을 잃게 될 많은 직원을 구할 수 있다고 판단해 프리 패키지 M&A를 추진했다. 이에 당초 쌍용건설 측이 주장했던 인수합병형 워크아웃보다 빠른 매각이 이뤄질 전망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다음달 4일 워크아웃이 결정되면 앞으로 실사 후 최종 워크아웃 안을 결정하는 데 2~3개월은 걸린다”며 “채권단이 최대한 빨리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가장 선호하는 것이 프리 패키지 워크아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채권단이 단기 유동성 공급과 함께 자본잠식을 해결할 수 있는 출자전환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채권단은 워크아웃 이후 1년 안에 M&A을 통해 쌍용건설을 매각한다는 입장이지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쌍용건설은 지난 2007년부터 6차례 걸쳐 매각작업을 진행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다. 쌍용건설의 유동성 위기도 부동산 경기 침체와 함께 매각이 지연되면서 발생한 측면이 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