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상승률 가장 높아 ‘1월 효과’
새해가 시작되면서 1월 증시의 향방에 투자자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1월 장을 통해 한해 증시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해 보려는 의도다. 그렇다면 역대 코스피지수는 1월에 어떤 흐름을 이어왔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1월에는 투자금을 다소 늘려도 될 것 같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12년까지(5~12월은 1990년도 포함) 코스피지수의 월별 평균 등락률은 1월 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평균 코스피지수 상승률은 3.26%에 달했다. 이는 새해를 맞아 투자자들이 증시에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이른바 ‘1월 효과(January Effect)’가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월에 이어 4월(2.88%), 11월(2.38%), 7월(1.74%), 3월(1.28%), 12월(1.23%), 10월(1.21%) 등의 순으로 월 평균 코스피지수의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8월의 코스피지수의 평균 상승률이 -1.65%로 가장 낮았고 2월(-1.50%), 5월(-1.16%), 6월(-0.62%), 9월(-0.33%) 등도 평균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1월의 증시를 둘러싼 환경은 그리 녹록치 않다. 미국의 재정절벽 문제가 아직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재정절벽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1월 증시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오승훈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미국 재정절벽은 피하기 위한 임시방편 마련이 최선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지만 시간이 지연될 뿐 여전히 불확실성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 연구위원은 “기술적 반등의 여력이 남아있어 1월초 추가 상승 가능성이 열려 있지만 코스피지수 2000선 이상에서는 과도한 기대보다 경계를 높여야 한다”며 1월 증시가 전강후약의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김지형 한양증권 연구위원은 “미국 재정절벽의 일괄 합의가 지연될 가능성이 크지만 기본적으로 재정절벽 문제는 민주-공화 양측 모두 여론의 강한 질타를 원하지 않아 관리가 가능한 이슈”라며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양측 간 이견의 폭이 큰 점을 고려할 때 일괄타결이 어려워 진행형으로 남겨질 가능성이 높다. 미국증시의 상승 탄력을 기대하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