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50% “부동산 내년 하반기 회복 전망”

내년 부동산시장이 상반기에 약세를 보이다 하반기에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부동산 전문가 105명을 대상으로‘부동산시장 전망과 차기정부 대응과제’에 따르면 응답자의 49.5%가 내년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응답했다.

이어 ‘연초에 거래급감후 약세 연중 지속(23.8%)’‘상반기 약세후 하반기 더욱 침체(21.0%)’, ‘상반기 반짝 회복후 하반기 다시 약화(5.7%)’ 순으로 답했다.

내년 주택가격에 대해서는 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응답자의 53.3%가 ‘추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올해보다 평균 2.9%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집값이 상승할 것(24.8%)’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은 올해보다 평균 2.0%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장기침체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주택수요 감소(34.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투자손실을 우려한 주택구매 기피(30.9%)’, ‘젊은 사람들의 소유욕구 저하(21.3%)’ 등을 차례로 꼽았다.

차기 정부에서 우선 추진해야할 부동산정책 과제로는 ‘주택수급불균형 해소(37.2%)’에 이어 ‘부동산세제 개선(35.2%)’, ‘주택대출규제의 탄력적 운용(13.3%)’, ‘1가구1주택 우대원칙 폐기(9.5%)’, ‘민영주택에 대한 주택청약제 폐지(2.9%)’를 차례로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관계자는 “주택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대는 끝나가고 있는 만큼 보금자리주택, 신도시 개발과 같은 공급확대정책은 속도 조절을 하고 과거 시장호황기에 도입된 부동산 세제와 규제는 현실에 맞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거래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전세 거주자의 내집마련 지원확대(40.0%)’, ‘수도권시장 회복(24.8%)’, ‘중대형주택 수요 진작(13.3%)’, ‘공공분양 축소(11.4%)’ 등이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차기정부는 저출산·고령화, 소규모 가구 증가 등 주택수요 트렌드변화를 고려한 부동산 정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며 “올해 말로 끝나는 취득세 감면과 미분양주택 양도세 비과세 조치를 연장?확대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