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국내 유통 과자류 트랜스지방 ‘안전’

입력 2012-12-24 11: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국내 유통 과자류 147개 제품을 대상으로 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한 결과 1회 제공기준량(30g) 당 트랜스지방 평균 함유량은 0.05g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트랜스지방은 액체인 식물성기름(콩기름, 옥수수기름 등)을 고체상태로 가공할 때 수소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방으로 심근경색 등 각종 심혈관질환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에서 과자류의 1회 제공 기준량 당 트랜스지방 평균 함량은 0.05g으로, 2005년 0.7g에 비해 93%나 줄어들었다.

과자류 중 비스킷류의 트랜스지방 함유량은 2005년 0.9g에서 0.05g으로 94% 낮아졌으며, 초콜릿가공품이 1.0g에서 0.07g으로 93%, 스낵류는 0.3g에서 0.04g으로 87% 크게 낮아졌다.

또한 전체 조사 대상 중 99%(146개)가 1회 제공 기준량 당 트랜스지방 함량이 0.2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0.5g을 넘는 제품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트랜스지방 대신 포화지방의 사용 증가 우려가 있었지만, 이번 조사결과 국산 과자류의 포화지방 평균 함량은 3.4g으로 트랜스지방 저감화 정책 추진 당시인 2005년 3.6g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트랜스지방 섭취는 하루 섭취 열량의 1%를 넘지 않되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만큼 가급적 적게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WHO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따라 트랜스지방 섭취량을 하루 섭취 열량의 1%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