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2월 전국 개통 이후 단말기 보급 73만대→773만대
무정차 요금징수 시스템인 ‘하이패스’가 전국 개통된지 5년 만에 단말기 보급이 10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공사는 전국 개통 이후 5년 동안 하이패스 단말기 보급은 73만대에서 773만대로 10배 이상 늘었고, 하루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차량도 49만 대에서 206만 대로 4배 이상 증가해 이 기간 하이패스 이용률이 15.7%에서 56.6%로 크게 늘었다고 20일 밝혔다.
하이패스 시스템은 2000년 6월 성남·청계·판교 등 3개 개방식 톨게이트에 최초 설치됐으며, 단계적으로 설치를 확대해 2007년 12월 전국 톨게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공사에 따르면 수도권 고속도로 이용차량 중 62%인 128만대가 하이패스를 매일 이용하고 있으며 전국 고속도로 톨게이트 328개소 가운데 하루 통행차량의 절반 이상이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곳은 모두 267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전국 개통 당시 261개 톨게이트 595개 차로에 설치했던 하이패스는 현재 328개 톨게이트 871개 차로로 늘었다.
국토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하이패스의 사회적 편익 분석 결과 하이패스 전국 개통 후 5년간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 4992억원, 통행시간 절감편익 1조1811억원과 환경오염 감소 608억원의 편익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공은 하이패스 전국 개통 5주년을 맞아 고객 사은행사로 하이패스 퀴즈이벤트를 시행하고 777만번째 단말기 등록 고객에게 블랙박스를 증정한다. 또 하이패스 단말기 5개 제조사는 내년 2월까지 8개 단말기 모델을 20~40% 할인판매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