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첫 여성대통령 당선… “국민행복시대 열겠다”(종합)

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첫 ‘과반’ 득표…문재인 “패배 인정하지만 새정치 실패 아냐”

역사상 첫 여성 대통령이 탄생했다. 19일 치러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당선됐다.

잠정 투표율이 75.8%로 높게 나타나면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가 유리하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있었지만, 예상을 뒤엎고 박 당선인이 승리를 거머쥐었다.

이날 오후 12시 현재 개표율이 88.8%를 보이는 가운데 박 당선인은 51.6%를 득표해 48.0%를 얻은 문 후보를 3.6%포인트 차로 앞섰다. 대선에서 과반 이상을 득표한 건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처음이다.

박 당선인은 당선이 확정된 이날 밤 여의도 당사를 찾아 “참 힘들고 어려운 선거였는데 끝까지 모두 최선을 다해줘서 감사하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이후 광화문 광장으로 이동해 “새로운 시대를 여러분께서 열 수 있도록 해주셨다”며 “보내주신 신뢰, 제가 그 뜻을 깊이 마음에 새기면서 국민 여러분 모두가 꿈을 이룰 수 있는, 작은 행복이라도 느끼면서 살아갈 수 있는 국민행복시대를 제가 반드시 열겠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또 “선거 중에 크게 세 가지를 약속드렸다. 민생 대통령, 약속 대통령, 대통합대통령”이라며 “그 약속 반드시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박 당선인은 전국 16개 시도별로 서울과 광주·전남·전북 등 4곳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문 후보를 제쳤다.

박 당선인의 주요 승리 요인은 수도권에서 높은 득표를 기록한 때문이다. 특히 경기와 인천에서 문 후보를 앞지르며 높은 득표율을 보였고, PK(부산·울산·경남)에서 문 후보를 큰 차로 따돌린 것이 승리의 열쇠가 됐다.

또한 공약 측면에서도 박 당선인의 전략이 먹혀들었다는 평가다. 박 당선인은 당초 경제민주화를 앞세웠지만 중도층을 끌어안기 위해 경제민주화와 경제성장이라는 투 트랙으로 경제기조의 방향을 전환했다. 현실 가능한 공약을 내세워 ‘원칙과 신뢰’라는 이미지를 굳히고, ‘중산층 70% 끌어올리기’ ‘가계부채 해결’ 등을 공약 전면에 내세운 것도 유권자들에 어필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문 후보는 ‘박정희 대 노무현’ ‘과거 대 미래’라는 대선 프레임을 앞세우는 전략을 구사했지만, 결과적으로 유권자를 설득하는 데 실패했다. 또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 과정도 매끄럽지 못해 ‘반쪽 단일화’라는 오명을 남기며 중도층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 것이 패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박 당선인은 접전인 수도권을 막판까지 집중 공략한 반면, 문 후보는 PK 여론을 너무 의식해 상대적으로 수도권 유세에 소홀했다는 지적이다.

한편 선거에 패배한 문 후보는 여의도 당사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저의 역부족이었다”며 “정권교체와 새정치를 바라는 국민들의 열망을 이루지 못했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됐다. 모든 것은 다 저의 부족함 때문으로, 지지해주신 국민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패배를 인정하지만 저의 실패이지 새정치를 바라는 모든 분들의 실패가 아니다”라며 “박 후보에게 축하 인사드린다. 국민도 이제 박 당선인을 많이 성원해주시길 바란다. 거듭 죄송하고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해주신 여러분들의 성원도 잘 새겨 훌륭한 공약을 받아들이고 국민을 위해 집행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