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뇌관’… 하우스푸어 ‘23만’

대출규모만 26조… 경매위기 고위험군 8만명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 100명중 4명은 집을 경매에 넘겨도 빚을 모두 갚기 어려운 ‘깡통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등급이 낮고 금융기관 여러 곳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고위험군’에 속한 하우스푸어(House Poor)는 23만명, 대출규모는 26조원에 육박했다.

금감원은 2일 그 동안 전수 조사를 통해 분석한 주택담보대출 리스크 현황을 처음으로 공식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저신용·다중채무자(23만명)와 깡통주택 보유자(19만명), LTV 70% 초과 대출자(24만명), 2금융권 후순위대출자(15만명) 등이 부실 우려가 있는 큰 채무자로 분류됐다.

현재 7등급 이하 저신용자이면서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의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25조6000억원(전체 주택담보대출자의 4.8%), 2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중 경락률을 초과한 대출규모는 13조원(3.3%), 19만명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19만명에 이르는 깡통주택 소유자들도 결국 대부분이 저신용·다중채무자와 겹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부채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증폭될 경우 이들이 뇌관이 될 것으로 당국은 우려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하우스푸어 중 당장 빚을 갚지 못해 경매 위기에 몰릴 수 있는 고위험군이 8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주택담보대출 중 1개월 이상 연체차주는 4만명(주택담보대출의 0.8%), 금액으론 4조5000억원으로 모두 7등급 이하 저신용 채무자다. 전체 금융권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80% 초과대출자 4만명(대출금액 4조1000억원)도 당장 지원이 시급한 채무자다.

이에 금감원은 이달 중 이들에 대한 고위험 주택담보대출의 정밀점검에 착수한다. 이기연 금감원 부원장보는 “1개월 이상 주택담보대출 연체자 4만명과 LTV가 80%를 초과하는 대출자 4만명을 대상으로 정밀 점검을 실시한다”며 “가계부채 대응 태스크포스(TF)도 구성해 고위험군 부실화 가능성에 선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