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硏 “부유층·Y세대 은행충성도 낮아…수익률 따라 이동”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금융정보를 얻기 쉽지만 금융기관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부유층과 30대 ‘와이(Y)세대’를 중심으로 자기 주도적 금융소비 경향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하나금융연구소가 설립 25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발표한‘파이낸셜 노마드 시대-국내 금융소비자의 금융이용 행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9~10월 금융고객 1536명과 은행 직원 94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거래은행을 교체할 의향이 있다는 소비자가 11%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7%보다 4%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거래 은행이 3개 이상이라는 답변도 21%에서 32%로 11%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부유층과 Y세대는 금융상품을 고르는 태도도 수익률과 상품성을 고려하는 등 깐깐해졌다.

실제로 은행의 정기 예·적금에 가입할 때 단순히 기존에 거래하던 은행 상품이어서가 아니라 수익률과 혜택 등 상품성을 기준으로 금융상품을 선택한다는 응답은 자산 5억원 이상 고객이 전체의 45.5%였다. 자산 1000만원 미만 고객 가운데 같은 답변을 한 비율이 18.9%였다.

세대별로는 Y세대(29~38세) 가운데 24.6%가 상품성을 기준으로 예·적금에 가입한다고 답했다. 같은 답변을 한 X세대(39~49세)와 베이비부머 세대(50~58세)는 각각 19.4%와 16.7%였다.

상품을 선택할 때 5개 이상의 채널로 해당 정보를 알아본다는 응답자는 44.9%였다. 특히 Y세대 가운데 37.9%는 채널별로 1시간 이상씩 정보를 탐색한다고 답했다. 같은 답변을 한 베이비부머 세대는 28.3%, X세대는 29.3%, Z세대(20~28세)는 35.9%였다.

저축은행 상품을 이용한다고 밝힌 고객 비율은 자산 1000만원 미만 고객 가운데 22.1%, 자산 5억원 이상 고객의 53.3%로 나타나 부유층의 저축은행 이용이 더 활발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금융연구소 측은 보유 금융자산이 큰 집단과 Y세대에서 ‘금융 노마드’ 즉 기존거래 금융기관보다는 필요한 금융상품을 찾아 움직이는 소비자를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경향이 확산하면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을 중점적으로 판매하는 등 금융사의 경영전략도 변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