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이용자 투표 제도 폐지…디지털 민주주의 종언 반발 커져

입력 2012-11-24 08: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페이스북이 회사의 주요 방침을 사용자들의 투표로 결정하는 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해 미국 네티즌과 칼럼니스트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고 23일(현지시간) CNN이 보도했다.

CNN은 페이스북이 이용자 관심을 피하고자 추수감사절 전날인 21일 이같이 발표했지만, 이를 알아챈 일부 정보·기술(IT) 칼럼니스트와 네티즌들이 이에 비난하고 있다고 전했다.

마이클 필립스 칼럼니스트는 인터넷매체 버즈피드에 기고한 글에서 “페이스북이 마치 중국 정부처럼 디지털 민주주의를 실행하기에 너무 커졌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페이스북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속성”이라고 비판했다.

미국 네티즌들도 “디지털 민주주의의 종언”이라며 반발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페이스북은 2009년 이후 회사가 이용자 개인정보 관리와 관련한 주요 정책을 변경할 시 이용자들이 원하면 투표로 결정할 수 있는 ‘이용자 투표 제도’를 시행했다.

이용자 7000명 이상이 특정 방침에 답글을 달면 투표 여부를 결정한다.

투표 결과 이용자의 30%인 3억 명이 정책 변화에 반대표를 던지면 회사는 정책을 포기하는 것이 이 제도의 핵심이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이용자 수가 10억 명을 넘어서면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또한 기업공개(IPO) 이후 감독기관의 감독을 받는 만큼 제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페이스북은 투표 대신 질문 제도로 바꾸겠다고 제안했다.

윌 오레머스 칼럼니스트는 “아직 (이 제도가) 폐지된 것이 아닌 만큼 이를 되찾기 위한 운동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