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2/11/600/20121123174204_241407_400_587.jpg)
문 후보 측은 ‘가상대결50% + 적합도50%’을, 안 후보 측은 ‘가상대결50% + 지지도50(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지지층 제외)’를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선 ‘가상대결50% + 적합도25% + 지지도25%’를 섞는 절충안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등가성 문제, 역선택 막을 방안 없어 = 세가지를 섞는 절충안을 도출해낸데도 등가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적합도’나 ‘지지도’ ‘양자대결’ 등 비교범주가 다른 내용을 동등한 가치로 놓고 단순 합산하는 것은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또 양자대결은 ‘박 후보 대 문-안 후보’의 비교이고, 적합도와 지지도는 ‘문 후보 대 안 후보’의 대결이라 이 문제 역시 비과학적 조합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역선택 방지를 위해 새누리당 박 후보 지지층을 제외하자고 하지만, 이 방안도 현실적으로는 실효성이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새누리당 지지층을 제외하더라도 응답자가 새누리당 지지층임을 숨기고 대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단일후보를 선출한다고 시기가 알려진 상황에선 어떻게 해도 역선택을 막을 방안은 없다는 얘기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11/600/20121123174206_241409_400_537.jpg)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이틀 안에 무조건 조사가 끝나야 하는 상황에서 특정 여론조사회사가 면접원을 100명 이상 풀 경우, 단 시간 안에 조사를 완료할 수는 있지만 특정 시간대에 응답이 많이 이뤄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했다.
여론조사 기관은 조사시작 시점과 특정 시간대에 표집이 몰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매 시간 단위로 쿼터별 표집이 몰리지 않도록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이틀 안에 무조건 단일화 여론조사가 끝나야 하기 때문에 여론조사회사에서는 이를 잘 지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100명의 면접원을 가동해 1인당 10명씩 응답을 받는다 해도 오전에 조사가 시작되면 저녁 전에 1000명 조사가 완료될 수 있다는 말이다.
통상 낮 시간대에 전화를 돌리면 집에 있는 주부나 노년층 위주로 이뤄지게 되는데 중장년층 지지에서 앞선 문 후보가 유리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공정성 논란을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가 오차범위일 경우도 문제가 복잡해진다. 문 후보 측은 단 0.01%라도 앞서면 그 사람이 승자라는 입장이지만, 안 후보 측은 전날 밤 “그것은 두 후보가 결정할 일”이라고 했다.
이 경우 ‘무조건 승복’이냐 ‘후보 간 담판으로 재조정’으로 나뉘게 되는데, 대략 6%안팎에 이르는 오차범위 내 결과는 통계적 의미에선 지지율이 같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승패를 정하는 데 비과학적이라는 지적이다. 결국 이 같은 방법이 패배한 후보 측 지지자들을 납득시키기 어렵고, 세력 간 통합을 제대로 이룰 수 있지 미지수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