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세를 살고 있지만 주택을 살 수 있는 잠재적 수요층이 32~43만 가구로 추정됐다. 이에 이들이 내 집을 마련을 위해 매매수요로 전환하면 침체한 주택시장 회복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세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세금 상승이 안정될 수 있고,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덕례 주택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15일 전·월세가구 자산구조를 고려한 ‘전세→자가’ 전환 가능 잠재수요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94만 무주택 전세가구 중에서 부채가 없는 32~43만 가구는 전세금이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전세 대신 주택을 사들일 의사가 있는 잠재수요(실수요) 가구로 분류됐다.
이들 32~42만 잠재수요 가구는 지역별로 무주택가구와 주택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 등을 고려해 일차적으로 선호가구를 추정했다. 이어 선호가구(1차) 중에서 부채가 없는 가구만을 최종적인 잠재가구로 추정했다.
김 연구위원은 실수요가구가 매매수요로 전환해 주택을 사면 △전세금 안정화 △봄철 전세난에 대한 선제 대응 △거주안정효과 △매매거래 증가와 지방세수 증가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최근 주택시장에서 월세가 증가하면서 전세제도가 사라질 것이라고 하는 논란에 대해서는 주택소비자는 전세제도가 가진 내 집 마련의 징검다리 속성과 주거안정성, 편리성을 선호하기 때문에 쉽게 사라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주택가격이 비싼 서울·수도권은 아직 전세비중이 높아서 당분간은 전세중심 시장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준금리 인하로 내 집 마련 대출 사용자의 상환여력이 개선돼 실수요 가구의 주택구매환경이 크게 개선됐다”면서 “주택소비자가 ‘보증부월세→전세→자가’로 이동하고자 하는 선호와 생애주기를 고려한 ‘주거이동 사다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주택정책과 금융지원프로그램이 결합한 종합적인 주택정책 틀을 마련해 무주택 서민의 주거이동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